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둘기
비둘기23.02.13

블랙홀은 어떻게 탄생이 된것인가요?

흔히 블랙홀을 우주의 청소부라고 표현할만큼 강한힘으로 주변의 모든 것을 빨아들인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블랙홀은 어떻게 탄생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3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은 태양과같이 질량이 매우 큰항성이

    그 수명을 다하게 되었을때 근처의 원자들을 빨아들여 압축하며

    강한 중력을 발생시키게됩니다

    이 중력으로인해 블랙홀이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은 우주의 큰 별이 폭발하면서 생겨나는 공간입니다.

    큰 별이 수명을 다하여 폭발할 때 갖고 있던 모든 에너지와 물질들을 분출하며 폭발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별이 폭발하고 나면 질량만 유지되고 크기는 아주 작게 줄어듭니다.

    만약 수축이 계속해서 진행되면 질량으로 인해 빛도 빠져나가지 못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블렉홀은 태양질량의 30배이상의 별수준이 초신성폭팔이라는 거대한 폭팔이 일어나고 그 순간 주변에 강한 중력으로 인해 밀도와 중력이 무한에 가깝게 늘어나지만 부피는 0에 가깝게 줄어듭니다 블렉홀의 의미는 한번 들어가면 빛조차 빠져나갈수 없는 검은 구멍 이라는 뜻입니다

    이제 질문자님이 진정으로 원하는 답을 해드리죠

    백색외성:태양이나 태양보다 조금 작은별이 자신의 에너지를 전부 불태우고 찌그러든 모습입니다 이구르트루스라는 별도 현자 이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별중 하나인걸로 알려졌습니다,백섹외성은 백섹의 별이기 때문에 온도가 매우 차갑고 힘도 약한 작은 별입니다

    중성자별:이 별은 태양보다 10~20배정도의 별이 생을 마감할때 바로 터지지 않고 주변에 가스고리가 만들어져 그 에너지속에서 약간더 살다가 폭팔하는데요 이 별의 경우에서는 블렉홀의 바로 전 단계입니다 그러나 30배 미만의 별은 대부분 그대로 사라집니다

    블랙홀:제가 위에서 말씀 드렸드시 완전한 암흑의 첮체입니다 별이 폭팔하고 주변의 가스가 모여 만들어져 빛을 내지 못합니다 대신 그 중심에서는 강한 제트 라는 물질이 발사되는데요 이 물질은 블렉홀이 별을 흡수했을때 나오는 물질이라고 판단되었습니다그리고 블렉홀은 사건의 지평면,특이점 이렇게 분류되는데요 아래에서 설명해 드리갰습니다

    사건의 지평면:이것은 블렉홀 주위의 강한 중력으로 인하여 찌그러져 버린 공간인데요 이 부분부터 블렉홀의 영역입니다 이곳에서는 로켓의 속력을 최대한으로 부풀리면 탈출할수가 있고요 지평면의로 부터 너무 깁숙히 드갔다면 탈출은 불가능 해집니다 그 이유는 사건의 지평면으로 들어가는 순간 블렉홀의 중력으로부터 가까워 지기 때문이죠

    특이점:이건 블렉홀의 본체로 봐도 됩니다 이 본체가 바로 주변의 별과 빛을 흡수하는데요 정확하게는 흡수가 아니라 증발입니다 블렉홀의 강한 중력때문에 빛은 제트로 별은 가스로 증발해 버리는 거죠 이 특이점은 중력이 무한대이기 때문에 빠져나올수가 없고 들어가는 순간 질량이 무거운쪽부터 영향을 받죠 즉 인간의 경우에서는 머리가 가장 먼저 스파게티처럼 늘어날것입니다

    블렉홀의 종류

    슈바르츠빌트 블렉홀(전하가 없고 회전하지 않는다):이 블렉홀은 슈바르츠빌트라는 한 과학자가 발견했는데요 기존의 블렉홀은 바로 이 슈바르츠빌트 블렉홀이라고 보면 되갰습니다

    라이스너.노이슈트림(전하가 있고 회전하지 않는다):이 블렉홀은 전하 즉 전극이 있습니다 이 블렉홀은 전극으로 인해 물질을 더 확실하게 끌어들일수 있습니다

    커 블렉홀(전하가 없고 회전한다):이 블렉홀은 전하가 없는 대신 회전을 하는데요 회전을 하기때문에 타원형이라고 합니다 또한 특이점역시 고리모양으로 되어 있고요,커 블렉홀의 경우에서는 빨려들어가도 특이점 주위를 돌기때문에 특이점 옆을 지날때 회전하는 힘을 이용하여 출력을 최대한으로 뿜는다면 탈출할수도 있다는 주장이 있다는군요

    커 뉴먼 블렉홀(전하가 있고 회전한다):이 블렉홀은 가장 특이한(?)블렉홀 입니다 전하가 있으면서도 회전을 하기 때문에 한번들어가서 커 블렉홀처럼 탈출한다 해도 전하때문에 끌려들어갈꺼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