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겨울핑크
겨울핑크21.11.11

결막염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눈이 가렵고 흐릿하게보여서 저번에 안과갔었는데요 결막염이래요 안약을 처방받고 왔는데요 눈에 두번정도 넣다가 요며칠 제가몸이 많이안좋아서 안약을 못넣었어요 눈가려움은 나아진것같은데 아직 눈이 많이흐릿하게보여요 결막염이 원래 그런가요?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만성적인 염증에 의해 결막에서 점액 분비선 역할을 담당하는 술잔 세포들이 줄어들면 점액 분비량이 적어집니다.

    이로 인해 수분을 점액층에 붙잡아 둘 수 없어서 눈물층 중 수성층이 눈물관을 통해 코로 흘러나가게 되는데 이과정에서 안구건조증이 생길수 있고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이 있을수 있습니다.

    안약을 넣는다면 흐릿한 증상이 줄어들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결막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장좋은것은 안약을 넣는 것인데

    먹는약으로도 어느정도 치료가 됩니다.

    그러니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안과진료를 보시기를

    권해드립니ㅏㄷ.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결막이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흰 부분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을 말합니다. 이러한 결막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결막염이라고 합니다. 세균성 결막염과 바이러스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있습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이물감, 눈물, 충혈, 점액성 고름이 발생할수 있으며 대개 편측에서 발생하여 다른측으로 전염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눈물, 이물감, 충혈, 눈부심, 심할 경우 결막하 출혈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가려움, 작열감, 충혈, 붓는 증상 등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결막염의 원인에 따라 치료를 합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항생제 사용,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자연 치유 또는 세균에 의한 이차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사용이나 스테로이드 사용,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항히스타미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합니다. 현재 눈이 계속 흐리게 보인다면 다시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결막염은 충분한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안약을 2주정도는 넣는 것이 필요하지요. 아직 증상이 남아 있다면 치료가 더 필요한 상태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몸이 좋지 않아도 안약을 넣는 것은 그리 힘든 것은 아니니 좀 더 사용해 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