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맹증은 유전인가요? 궁금합니다
야맹증은 무슨원리로 밤에 안보이는건지 유전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야맹증은 불치병인가요? 과학적으로 야맹증은 왜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야맹증의 원인으로 비타민A부족, 약물독성, 각종 망막질환 등이 언급되고 있지만, 선천성 비진행성 야맹증은 유전이 원인입니다.
즉, 다양한 야먕증의 원인 중 유전도 있다는 것이죠.
보통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것이 눈이 적응하면서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야맹증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눈이 어둠에 적응하지 못하고 앞을 식별할 수 없는 상태가 유지됩니다.
보통 야맹증에는 비타민A가 언급되는데요, 이는 로돕신과 관련됩니다.
망막은 빛, 색, 형태 등을 감지하여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안구 조직으로 망막을 구성하는 세포 중 시세포에서 감지한 빛 정보가 전기적 정보로 전환되어 뇌로 전달됩니다. 시세포는 또다시 막대세포와 원뿔세포로 나뉩니다. 막대세포는 물체의 명암, 원뿔세포는 형태와 색을 인식합니다. 계속 빛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막대세포에서 로돕신이라는 물질이 지속적으로 재합성되어야 하는데, 비타민 A가 부족하면 로돕신의 재합성이 어려워집니다. 이것이 야맹증의 생기는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구의 망막 셀인 망막편층세포에서 시냅스를 맺는 시각세포안지매단(PRD) 세포가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의 일종인 프로비타민 A인 베타카로틴을 충분히 섭취받지 못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야맹증은 보통 비타민이 부족해서 생기는 것입니다
특히 비타민 a가 부족하면 발생하는 증상 입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선천적 야맹증의 경우 유전자이상 돌연변이에 속하며 다양한 유전방식에 의해 유전됩니다.
즉, 야맹증 발현은 상염색체상의 우성유전자에 의한 우성유전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또는 상염색체상의 열성유전자에 의한 열성유전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성염색체에 의한 반성(伴性)유전에 의해 발현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유전방식에 의해 발현됩니다.
선천적 야맹증의 경우 치료 방법이 거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