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아동 원하는 거 다 들어주는 게 맞나요?
청소년기 아동 원하는 거 다 들어주는 게 맞나요?
사고싶은 전자기기나 유행하는 옷등 원하는 걸 사주는 것이 맞을까요? 경제 관념을 잡지 못하는 건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무조건 적으로 제공하게 되면 아이가 경제관념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아이가 원하는 물건을 제공해 줄때 물건의 값등을 알려주시고 노동소득 및 사업소득의 힘듬을 알려주세요.
한편, 아이들에게 아르바이트 등의 노동경혐을 통해 돈의 개념을 인식시켜 주신다면 돈의 소중함과 돈 버는 힘듬
을 인식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있어서 어느정도 한계를 정해주는것은 중요합니다.
모든것을 들어주다보면 아이는 자신이 감당해야할것에 대해서 조절력을 기를수없기에
안되는것에 대해서는 한계를 정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버릇도 안좋게 들수도 있고
경제관념도 잡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별로 좋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시기 보다는
어느정도 기간을 정해서
아이가 착한일을 하거나
좋은 일을 한 경우에 사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실 왠만한거는 다해주라고는 하지만 일정부분의 가이드는 잡아줘야합니다. 그리고 가정내에서도 상한을 잡아주시고 아이에게 안되는 상황이면 아이에게 안되는 상황임을 인지시켜 주셔야 합니다. 오히려 빠른 상황 설명이 아이의 경제관념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갖고 싶어하는 것, 원하는 것을 다 들어 주는 환경에서 자라게 되면, 아이는 자기 중심적이며, 의존적인 경향을
드러낼 것입니다.
또한 욕구 불만을 참아 내는 인내심이 부족하게 되고, 지나친 과잉 보호까지 더해서, 나약해지기 쉬우므로, 적절하게,
아이의 마음에 공감하면서, 어느 정도 절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을 수 있도록 지도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원한다고 모든 것을 해줘서는 안 됩니다.
그럼 아이가 선택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소비에 대한 자제력도 없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네. 가급적이면 적당한 조절과 통제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가 원한다고 하여, 다 사주게 된다면 나중엔 통제가 더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 말씀대로 경제 관념 또한 쉽게 자리잡지 못하며
아이가 스스로 모은 용돈으로 어떤 물품을 사고, 저축을 하는 등의 방법을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 사주면 안됩니다.
아이와 약속을 하고 아이가 무언가를 잘했을 때
포상의 개념으로 사주시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아이들도 경제관념이 생기고 무언가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노력하니까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전부 들어주면 안됩니다. 아이들에게도 인내심이 있다고 믿는 것, 아이들을 존중하는 것, 아이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믿고 좌절감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를 독립적인 존재로 여기지 않는 부모들은 아이들의 인생을 간섭해서 행복감을 떨어뜨리고 대신 해주거나 원하는 것을 모두 하게 합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미움을 받기 싫어서 좌절을 안겨주지 않으면 아이는 자신의 탐욕과 요구에 무조건 관대해지는 독재자가 되고 말 것이라고 파리 가족심리학자 캐롤린 톰슨은 이야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