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깍듯한영양23
깍듯한영양2324.03.15

수도권 과밀문제는 어떻게 해결될 수 있을까요?

전세계를 기준으로 할때 현재 우리나라의 수도권이

가장 과밀화된 상황이라고 들었습니다.

좁은 면적에 엄청난 인구가 모여 있는것인데

이게 과연 해결이 가능할지가 일단 의문입니다.

우리나라가 워낙 아파트 강국이어서 이렇게 된거 같은데

이 문제가 과연 해결될 수 있는것인지

아니면 해결되지 못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전세계에서 유례가 없을정도로 과밀화된 수도권 인구밀집 문제

해결 된다고 보시나요? 아니면 안된다고 보시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우리나라가 워낙 아파트 강국이어서 이렇게 된거 같은데

    이 문제가 과연 해결될 수 있는것인지

    아니면 해결되지 못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전세계에서 유례가 없을정도로 과밀화된 수도권 인구밀집 문제

    해결 된다고 보시나요? 아니면 안된다고 보시나요?

    궁금합니다

    ==> 우리나라도 수도권 과밀억제를 위하여 각 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였고, 각 회사 및 힉교도 서울 및 수도권보다 지방으로 이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 과밀문제는 국내외에서 중요한 과제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과밀화는 주거, 교통, 환경, 인프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해결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아래에 몇 가지 관련 정보를 제공드리겠습니다.

    분권과 분산: 삼분정책이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권력을 비수도권으로 이전하는 분권, 돈, 기능, 사람을 옮기는 분산, 그리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각자의 기능을 분담해서 수행하는 분업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를 줄이고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역간 산업 배분: 지역 간 산업 배분을 재조정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입니다. 특히 지방에서 제조업 중심 일자리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연구개발, 서비스 분야에서도 해당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공일자리 강화: 지역의 공공일자리를 더욱 과감하게 추진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입니다. 부족한 공공일자리를 늘리고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집중하여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촉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책 협의 강화: 관련 부처들 간의 의견 조율을 강화하여 과감한 정책 추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랑스의 파리나 일본의 도쿄와 같이 균형발전을 위한 전담 조직을 구축하여 수도권 과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도권 과밀화 문제는 국가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과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인선 공인중개사입니다.

    인프라 및 일자리가 전부 수도권에 형성되어있으니

    생기는 현상 같습니다.

    정부차원에서 일자리와 인프라를 지역거점으로 지방에 옮겨주지 않는이상 수도권 과밀현상은 억제하기 힘들어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