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순간접착제도 과학적인 원리가 있는지요?

예전에 순간접착제를 잘못 사용하다가 실수로 손가락끼리 붙어서 살점이 뜯겨져서 아팠던 경험이 있는데요. 순간접착제 한방울로 물건을 순식간에 붙이는게 신기하기도 하고 어떤 과학적 원리가 있는지도 궁금해서 문의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순간접착제는 빠르게 고체화하여 물체를 서로 붙이는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순간접착제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대부분의 순간접착제는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라고 불리는 화학 물질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합니다. 이 화학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충분한 공기나 수분과 반응하지 않다가 물체 표면과 접촉되면 고체로 빠르게 고체화됩니다.


    2. 수분 존재: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는 수분과 반응하여 고체로 고정되는 반응을 일으킵니다. 물체 표면에서 수분이나 수증기를 흡수하면,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분자 사이의 결합이 형성되고, 이로써 접착제가 신속하게 경화됩니다.


    3. 빠른 경화: 순간접착제의 이러한 반응은 빠르게 진행하며, 순간적으로 물체를 접착합니다. 따라서 순간접착제는 고정시간이 매우 짧고, 적용 후에는 물체를 빠르게 붙일 수 있습니다.


    4. 고접착력: 순간접착제가 고체화되면, 그 결과물은 매우 강력한 접착력을 가집니다. 이것은 물체를 단단하게 결합시키고 고정시킵니다.


    순간접착제는 다양한 재료와 표면에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르게 접착력을 발휘하므로 각종 수리 및 조립 작업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순간 접착제는 순간 접착제 물질이 공기 중의 수분과 접촉하면서 중화 반응이 일어나서 고분자결합을 이루면서 접착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원리로 순간적으로 접착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순가 접착제는 시아노아크릴계 접착제를 흔히 부르는 이름입니다. 시아노아크릴계 접착제는 주성분이 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공기 중의 수분과 닿으면 급속히 중합반응을 일으켜 고분자화합물을 형성합니다. 이 고분자화합물이 물질과 물질을 연결하여 접착력을 발휘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

    순간 접착제로 당황한 경험이 많은데요 순간접착제는 수분과 매우 빠르게 중합반응을 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손에 물기가 있거나 공기중에 습도가 높다면 엄청난 속도로 붙어버릴 수 있지요

    해서 물건끼리 보다 살아숨쉬는 사람손에가 더 습도가 높아서 손에 붙어버리는 경험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순간접착제는 공기중의 수분과 접촉하면 중합반응이 일어나 고분자 네트워크가 생기면서 고체 상태의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가 됩니다. 순간 접착제 뚜껑을 열어 두면 액체가 고체로 굳는 것이 바로 이 때문입니다.

    피부에 떨어지거나 장갑에 스며들 때, 뜨거운 느낌을 받은 분들 많을 것 입니다.

    정도가 심하면 화상까지 갈 수 있습니다. 순접의 중합 반응은 발열 반응이라 그렇습니다.

    위에서 이야기 한대로 중합은 물기로 일어나므로, 물기가 있는 피부에서는 빠르게 굳기 시작하고 열발생도 순간적으로 많이되어 온도가 확 상승합니다. 장갑의 수 많은 작은 구멍에 순접이 스며들면 순식간에 굳습니다.

데스크탑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을 찍으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