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한남동원주민
한남동원주민22.07.17

탄산을 흔들면 폭발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탄산음료나 맥주에 탄산이 들어있으면

흔들고 열면 솟구치잖아요?

어떤 작용이 일어나서 그렇게 되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라는 것은 말그대로 탄산가스를 액체에 녹인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탄산음료와 맥주 등을 뚜겅을 연채 놔두면 김(탄산가스)이 다 빠지게 되지요? 처음 제품 상태로 받았을때에는 탄산이 음료안에 들어있지만, 사실 상 강제로 녹여놓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강제로 탄산가스를 음료에 녹여두었기 때문에 놔두면 계속 공기중으로 빠져나간다는 것이지요.

    처음 탄산음료를 만들때처럼 밀폐된 공간에 강제로 가스를 주입시키는 방식이 아니라면, 탄산음료에 어떤식으로든 힘이 작용할 경우 강제로 넣어둔 탄산이 빠르게 빠져나가기 시작할 겁니다. 이때, 빠르게 빠져나가는 탄산가스의 방향으로 스트림이 형성되고, 음료도 같이 그 방향으로 일부 빠져나가게 됩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최초 내부에 생긴 가스로 인해 에어로졸 (공기+액체)의 형태가 만들어지고 이렇게 안정화된 형태가 되어, 가스만 빠르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같이 빠져나가게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천천히 탄산가스를 뺀다면, 기체만.. 빠르게 빼려고하면 액체와 기체가 섞인 음료수병에서 에어로졸 형태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을 흔들면 액체안에 녹아있던

    탄산이 탄산가스 형태로 변화하여

    방출됩니다. 우리가 흔드는 에너지를

    먹고 상태가 변화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많이 녹고 온도가 올라살수록 용해도가 높아집니다.

    그런데 온도 뿐만 아니라 기체의 에너지 자체가 높으면 빠져나가려고 합니다.

    콜라나 사이다를(탄산) 흔들게 되면 이산화탄소가 에너지를 받아 액체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탄산을 흔들면 폭발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