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강아지 등 악성종양 같은지 봐주세요
저희집 첫째 애기 등에 6월 26일쯤 이런 피부염증을 발견해서 병원 갔었는데 처음엔 안에 멍울 같이 만져지는 건 없고 되게 크게 부종이랑 염증 탈모가 있었어요
그래서 우선 소염제 스테로이드 3주치 처방 받아서 먹여봤는데 염증은 호전이 됐는데 피부 안쪽으로 타원형처럼 멍울 같은게 생겼는데 안 사라지더라구요
추가로 항생제 2주치도 먹여봤는데 발적이나 염증만 가라앉고 멍울은 그대로였구요 근데 벌써 이렇게 지낸지 두달이 다 되어가는데 약은 효과가 없는 거 같다고 생각해서 끊었고 상태만 보는 중인데
애가 더워서 열을 받거나 등 피부에 자극이 가거나하면
저 부위가 빨개지는 거 외엔 염증이나 다른 부위에 생기거나 하지 않고 멍울도 크기 그대로 유지중이예요
병원 3곳 중 두 곳은 피지낭종 같다고 하시고 주치의 병원 한 곳만 피지낭종은 아닌 거 같다고 비만세포종이나 악성종양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고 하시더라구요 초음파도 봤었는데 따로 뭐 확실하게 보이진 않는다고 하셨고 그 외에 혈검이나 복부초음파 엑스레이 같은 거에선 다른 질병같은 건 없는 상태입니다
혹시 수의사님들이 보기엔 어때보이나요?
세포검사를 해볼까도 생각 중인데 해보는게 좋을까요?
6월 26일 처음 발견했을때
현재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종괴가 어느 부위에 있는지 그리고 전신체표림프절의 비대 등도 전반적으로 확인을 해야할듯 합니다.
크기나 초음파만으로는 해당 종괴가 어디 유래되었는지 침습성이 있는지 여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기존 병원이나 혹은 좀 더 규모가 큰 병원으로 전원하셔서 세포검사 CT촬영 수술적제거 후 조직검사까지 하시는 것이 원칙입니다.
일반적으로 침습성이 없는 종괴는 천천히 커지고 종과와 주변조직의 구획도 분명하는 양상이 대부분이니 빠른 결정 하시는 것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세포 검사를 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말씀 하신 과정의 전반적인 진행 양상이 악성종양의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지만 그렇다고 이정도 데이터로 악성종양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반드시 세포검사 혹은 조직검사를 받아보는게 최선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진으로는 아무것도 알 수가 없습니다. 일단 크기나 색이 공격적으로 변하면, 악성의 가능성도 있겠지만, 이 역시 정확하지 않습니다. 미세침흡인검사(조직 검사)를 하셔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