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공모전에 도전해 보고 싶은데 어떤 주제나 형식이 경쟁력이 있나요??
문학 공모전에 도전해 보고 싶은데 어떤 주제나 형식이 심사위원들에게 신선하게 다가갈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최근 트렌드나 수상작 경향을 분석하고 창작 방향을 정하는 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우선 어떤 공모전을 준비하시는지에 따라 어떤 주제나 형식이 경쟁력이 있을지가 결정될 것 같습니다.
만약 추리/미스테리/스릴러등을 주제로 한 공모전이라면 내용상의 반전과 글의 여기저기에 흩어진 단서들을 하나로 모으는 치밀한 구성이, 연속된 사건들의 유기성등이 가장 큰 무기가 될 것입니다. 혹은 응시 분야가 환타지, 공포, 오컬트쪽이라면 세밀한 자료조사에 따른 소재의 다양성과 세계관의 설정, 진부하지 않은 인물들의 묘사등이 큰 장점이 되겠습니다.
준비하시는 분야가 순수 소설 부분이라면, 가정 중요하게 생각 할 수 있는 것은 주제성입니다. 모든 문학 장르가 그러하듯, 소설도 사람들이 살아가는 과정속에서 서술되어가는 것으므로 현 인류, 현 한국인들이 직면한 문제, 아픔, 고통, 문제의식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하겠습니다. 만약 주제의식 없이 무의미한 대화나 사건만이 나열된다면 아무 의미 없는 글이 되겠습니다. 물론 재미적인 요소도 소설의 큰 부분이겠으나 현재 한국 문단에서 등단에 관해서는 재미는 큰 요소는 아닙니다.
또한, 주제성에 뒤지지 않게 중요한 요소는 문장입니다. 아무리 주제성이 뛰어난 글이라 한들, 문장이 지루하고 어색하다면 그 주제성을 부각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같은 의미를 가지더라고 문장력이 좋고 표현이 참신하다면 더욱 좋은 평가를 받을 것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문장력을 기르는 좋은 방법은 다독과 다작입니다. 기성 작가들의 작품들을 찾아 읽고, 좋은 점들을 흡수하는 것은 독서의 힘이고, 글런 것들을 본인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작문의 힘이되겠습니다.
더불어, 기존 문학상에서 수상한 작가들의 모음집이 많이 출판되어 있습니다. 신춘문예, 이효석 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한겨레문학상 등에서 수상한 작가들의 모음집 있고, 각 문예지(창비, 문지, 문학과 사상 등)와 계간지(창비)들에도 각각의 잡지에서 수상한 작가들의 작품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가장 좋은 본보기이니 필히 참고 하시어 현재 한국 문학의 트렌드에 대한 감을 유지하기시를 바랍니다.
참고로 현재 대한민국 소설의 주류 트렌드는 소외의 문제, 불평등과 폭력에 대한 문제, 개인과 사회의 관한 문제, 그리고 성 다양성(불평등)과 AI정도가 되겠습니다.
정진하시어 좋은 글로 세상을 밝히는 작가가 되시길 진심으로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정말 현실적인 (당선될수 있는**) 질문을 주셨는데 두가지 Two Track으로 추천을 드리고 싶습니다.
Short-Cut: 요즘은 뭔가 SF적인 것을 가미하여 또 서사적인 스토리를 쓰는 이런 것들이 읽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상당히 재미가 있다는 것입니다. 일상생활에서, 그리고 어떤 Romance적인 소재에도 첨단의 21세기적인 기술적 요소가 반영된 주제를 추천드립니다.
Long road to The Great things: 주체성을 특히나, 한국문학쪽에서는 강조하고 싶은 것이 고유의 한국의 역사를 소재로 하여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라던지 역사적 사회적 상황을 배경으로한 프랑스문학의 Master 대작, Les Misérables같은 역사적 스토리를 가진 작품들이 많이 나왔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99%의 공모전에는 따로 정해진 주제가 있습니다
그러니 그부분은 별로 신경쓰실 필요 없습니다
신문사, 잡지 등에서 주관하는 공모전에선 최근 트렌드를 더 신경쓰시고
xx문학상 같은 식으로 기성작가의 이름을 따거나 호국보훈등의 주제인 경우에는
기존 수상작의 경향을 분석하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