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곰살맞은나방210
곰살맞은나방210

프래더월리 증후군이라는 게 있더라고요. 2-3살 아이가 지나친 식탐현상이 보이면 프래더월리 증후군인가요?

'프래더윌리증후군'의 증상은 보통 2-3살 전후로 나뉜다고 합니다. 2살쯤부터 음식에 엄청나게 집착하면 프래더월리 증후군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프래더월리 증후군은 정확하게 어떤 뜻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프래더윌리 증후군은 유전질환으로,

      비만, 강박행동과 분노발작 등을 나타냅니다.

      프래더윌리 증후군은 빨리 치료를 하지 않게 되면, 자립 생활이 힘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프레더 월리 중후군은 염색체의 문제로 발생하는것으로 유전적인 부분이 높게 나타납니다

      개인에 따라서 증상은 다를수있으나 일반적으로 발달장애나 지능의 떨어짐 성장호르몬이 적다거나 과체중을 유발하거나 할수있을것입니다.

      단순히 식단만으로는 진단하기는 어려울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프라더 윌리 증후군은 신생아 초기 근긴장도 저하, 발달 지연 등이 나타나며,

      어느 정도 자랐을 때 비만, 저신장, 정신 지체, 등이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비만, 지적장애를 주 증상으로 하는 유전 질환을 말하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프래더윌리증후군은 15번 염색체 이상으로 나타나는 유전질환 입니다 .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프레더월리 증후군은 일반적으로비만이많고

      눈이아몬드모양이고 이마가좁고

      손발이작은것을보일수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식탐을 보인다고 프래더월리증후군이라고 볼수만은 없어요

      보통 이 증후군은 아이의 지능도 낮고 발달도 더디다는

      특징이 있어요 비만인 경우도 많구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프래더월리증후군과 같은 경우 희귀병이기 때문에

      단순히 아이들이 식탐이 많다고 하여 해당 병이라고

      볼 수 만은 없습니다.

      이 병에 걸린 아이들은 특히 대퇴부·복부·둔부의 비만인 경우가 많고 연령이나 체중에 비해 키가 작은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프라더 윌리(Prader-Willi) 증후군은 15번 염색체 이상 질환으로, 1956년에 프라더, 레브라트, 윌리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이 질환은 신생아 초기에 근긴장도 저하, 체중 증가 부족, 발달 지연을 보이다가 아동기 이후 비만, 저신장, 성선 기능저하증, 정신 지체, 근긴장 저하 등이 나타납니다. 발생 비율은 출생아 10,000명 내지 15,000명당 1명꼴의 빈도이며, 남녀의 발생률은 비슷합니다.

      프라더 윌리 증후군 환아는 아동기 이후부터 비만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됩니다. 비만의 원인은 시상하부의 기능 부전에 의한 식욕 증가와 포만감 결여입니다. 시상하부는 대뇌에서 가장 중요한 구조 중 하나로, 성장 호르몬, 성선 자극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황체 자극 호르몬,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의 조절을 담당합니다. 프라더 윌리 증후군 환아 중 75%가 비만증을 겪으며, 33% 정도는 이상 체중의 200% 이상까지 체중이 증가합니다. 프라더 윌리 증후군을 겪는 아동 중 25%는 비만이 없습니다. 비만을 조절하지 못하면 대체로 고혈압, 심혈관 장애,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2형 당뇨병) 등과 같은 비만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래 내용을 보시면 '프래더월리 증후군'은 비만한 몸에 비해 키가 작고, 좁은 이마, 아몬드 모양의 눈, 아래로 처진 입술 등의 얼굴 모습도 특징적입니다. 또한 행동장애나 수면장애같은 것을 보이면 이 병을 의심할 수 있는데요 아직 아이가 어려 판단하시기 어려우시다면 병원에 가셔서 전문가에게 진단해 보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 두산백과 두피디아]

      아직 그 원인과 치료법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은 희귀병으로, 대뇌의 구조 가운데 '시상하부'의 기능 장애로 일어나는 경우와 염색체이상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병에 걸린 아이의 경우 75% 정도가 15번 염색체의 이상이었는데, 이 경우 15번 염색체를 부모로부터 골고루 받지 못하고 어머니로부터만 받거나 15번 염색체에 다른 종류의 돌연변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증세로는 신생아 시기에는 힘이 없어 모유우유를 잘 먹지 못하고, 다른 아이들에 비해 성장도 늦다. 하지만 근력저하는 대부분 12개월이 되기 전에 회복되어 미처 질환을 발견하지 못한 채 지나는 경우가 많다. 이 질환의 구체적인 증세가 나타나는 시기는 그 이후로, 아이가 자라면서 지나치게 음식에 대해 욕심을 부려 비만해지며, 체중에 비해 키가 자라지 않아 저신장을 보인다. 이 증후군에 걸린 아이들의 증세 중 의학적으로 가장 심각한 것은 비만인데, 그 이유는 비만이 심장병당뇨병, 고혈압, 뇌혈관 질환, 수면장애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병에 걸린 아이들은 특히 대퇴부·복부·둔부의 비만인 경우가 많고 연령이나 체중에 비해 키가 작다. 얼굴 모습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좁은 이마와 아몬드 모양의 눈, 아래로 처진 입술, 얇은 윗입술, 작은 턱에 손·발도 작은 편이다. 또 남자아이의 경우는 음경이나 고환이 작고, 여자아이의 경우에는 소음순과 음핵이 작은 것이 특징이다. 남녀 모두 사춘기가 늦거나 오지 않을 수 있으며, 태어날 때부터 불임인 경우도 있다.

      대부분 지능지수(IQ)가 20∼90으로 낮은 편이며, 환자의 40%는 정상에 가까운 지능을 보이기도 하지만 대부분 IQ에 상관 없이 학습장애를 나타내고 학습 성취도도 떨어진다. 또한 대부분 행동장애나 수면장애를 나타낸다. 현재 치료 방법은 없으며, 이 병의 대표적 증세인 저신장과 비만, 성선기능저하증에 대한 부분적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비만증에 대해서는 아이의 식사량 조절과 함께 최근에는 성장호르몬을 사용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프래더윌리증후군 [Prader-Willi Syndrom, ─症候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