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주식이 무섭게 떨어지는데 바닥 잡는 방법은??
지금 미국을 비롯해 한국 주식도 무섭게 떨어지는데 바닥에서 살수 있으면 정말 좋을텐데 바닥은 신도 모른다고 하더라고요. 그래도 전문가님들은 나름 매수진입 타이밍을 포착하는 방법이 있을것 같은데 어떤 지표를 참고해서 진입하는지 아님 다른 어떤 방법이 있는지 노하우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바닥을 잡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과매도가 되는 순간이 바닥이라고 볼 수 있는데
사실 무조건 그렇다고 하기 어렵기에
결국 미리 분할매수 선을 그어놓고 걸리기를 기다리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 차트, 이동평균선, 상대강도지수 등을 분석하여 추세를 파악하고 매수 타이밍을 결정합니다. 뭐 별거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도 바닥을 잡을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하락폭이 줄어들고 차트상 반등 구간이 보이거나
금리 인하 등으로 인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불식될 때가 바닥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바닥은 신도 모른다 할 정도로 당시의 여러가지 요소가 반영됩니다.
120일이나 240일 이평선 추세선 그려보시고 그 근처에서 매입해 보시거나, 혹은 매 10% 하락점마다 소액 분할 매수해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 하신 것 처럼 바닥을 예상 하는 것은 누구도 불가능 하며 또한 이를 예측할려는 행동은 매우 위험한 투자 방법 입니다.
이런 유명한 말이 있죠? "바닥 인 줄 알았더니 지하실이 있더라"
가장 중요한 것은 추세를 주의깊게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 합니다.
그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기술적 분석"을 통한 추세,지지저항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메크로적 환경(금리인상,인하와 같은)도 면밀히 체크해야 합니다.
유투브 같은 영상을 보면 특정 지표를 보고 바닥을 예상 할 수 있다느니 하는 것은 모두 거짓 입니다.
마법과 같은 지표는 세상에 존재 하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바닥을 잡는 방법은 명확히는 없지만 그나마 가장 쉽게 접근하는 방법은 PBR지표를 활용하는게 국내시장에서 가장 확률적으로 높은 접근 방법입니다
코스피지수의 역사적 평균 PBR은 1배에서 1.1배수준이며 이 밑으로 떨어질경우 서서히 매수 접근해도 될 수준으로 판단할수 있습니다.
현재는 1배도 안되는 PBR이기 때문에 저평가구간으로 볼수있으며 다만 급락을 나타냈기때문에 매물이 줄어드는 즉 거래량이 감소할때부터 매수 접근으로 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PER은 국내 대표 이익업종인 반도체와 자동차인데 이 두업종은 경기민감섹터이고 이익증감폭이 크기때문에 저PER를 바닥매수로 접근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하락장에서 바닥을 잡으려고 계속 투자하면 물리고 또 물리는 작업을 반복하게 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타이밍을 포착하는 방법으로는 양봉이 나온 다음날 진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락장에는 인내심이 필요하고 지금 포지션이 많이 주식시장에 쏠려있다면 일부는 현금화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바닥을 잡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전문가들도 정확한 타이밍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그러나 몇 가지 지표와 방법을 통해 더 나은 매수 진입 타이밍을 찾으려는 노력이 가능합니다. 전문가들이 참고하는 주요 지표와 방법으로는 기술적 분석, 펀더멘털 분석, 시장 심리 분석, 경제 지표와 환율 분석, 분산 투자와 자산 배분 전략이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가격 데이터와 거래량을 바탕으로 미래의 가격 움직임을 예측하며, 이동평균선, 상대강도지수(RSI), MACD 등의 지표를 활용합니다. 펀더멘털 분석은 기업의 재무 상태, 산업 동향, 경제 지표 등을 분석해 주식의 내재 가치를 평가하며, PER, PBR, ROE 같은 지표를 사용합니다. 시장 심리 분석은 투자자들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여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포착하고, 공포와 탐욕 지수, VIX 등을 참고합니다. 경제 지표와 환율 변동도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환율 상승 시 주가 하락 확률이 높고, 달러 약세 시 주식시장이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한 가지 자산에 집중 투자하기보다는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주식과 미국 국채에 분산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지표와 방법들을 참고하여 매수 진입 타이밍을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주식 투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이 바닥을 찍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격이 많이 떨어지고 거래량이 많아지면 바닥일 수 있습니다. 또, 중요한 경제 지표인 Baltic Dry Index가 올라가면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마지막으로, 여러 주식들이 동시에 오를 때도 바닥을 찍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바닥을 잡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과대낙폭을 분석하거나, 이전의 기본적 분석을 통해 실적이 어느정도인지 파악을 하거나, 아니면 다양한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저점을 분석하거나, 차트상에서 지지가 되는 점을 확인 후 투자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