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올라잇
올라잇

우리나라 원달러환율 위기가 왔는데 어떻게 외환보유고가 늘었나요

오늘 뉴스기사를 보니까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가 오히려 늘었다고 하더라고요.

원달러환율이 치솟을때 imf처럼 외환보유 거덜난다고 했었는데 오히려 늘었다니.. 어떻게 이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 호조에 따른 미국 채권과 주식 운용수익이 증가했으며 외화 예수금이 2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12월 말 외환보유액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고 4156억 달러로 지난달 말 보다 2.1억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의 달러 운용수익 증가와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외자운용원의 증권 운용과 채권 이자수익,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등 증가요인이 주 원인이라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하여 외채 상환 등의 부담으로 외환 보유고가 줄어들 가능성이 논의됐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시점상 분기말, 연말이었기 때문에 금융 기관들이 평시보다 외화 자산을 늘려놨어서 외횐 예수금이 

    증가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의 여러 자금 운용 방안으로 운용수익이 발생했응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오히려 외환보유고가 증가한 이유로는 12월 효과로 외화예금이 크게 늘었습니다

    • 이는 미국의 금리가 높은 편이기에 가능했습니다.

    • 또한 한국은행이 달러표시의 채권상품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서 기존보다 더 많은

      외화를 융통할 수 있었다는 점도 의미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외화 방어를 하면서 추가적으로 외화를 매수하거나, 수출로 받은 외화가 많아져서 외환보유고가 늘어나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외환보유고가 늘어나면 달러의 안정화에 일정부분 기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12월의 외환보유액이 늘어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ㅏㄷ.

    바로 한국의 금융기관들의 외화예수금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운용수익도 늘어나서 그렇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가운데,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4년 12월 말 외환보유액은 4156억 달러로, 전월 대비 2억1000만 달러 증가했습니다. 이는 외환당국이 환율 방어를 위해 적극적인 개입 대신 미세조정 방식으로 대응했기 때문입니다.

    외환보유액 증가의 주요 요인은 분기말 효과로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이 증가하고, 외화 자산 운용에서 발생한 수익입니다. 특히, 미달러화 강세로 인해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가치가 감소했지만, 이로 인한 손실을 금융기관의 예수금 증가가 상쇄했습니다. 이러한 상화은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외환보유액이 증가한 것은 예상과는 다른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이 안정적임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환율 변동서이 여전히 큰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가 증가한 것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외환보유고는 외환시장 개입뿐 아니라 외환자산 운용에서 발생하는 수익, 정부의 외환 차입이나 국제기관으로부터의 지원 등 여러 요인으로 변동합니다. 최근 외환시장 개입으로 인해 일부 외환이 소진되었더라도, 보유 외환자산 운용에서의 수익 증가가 이를 상쇄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정부가 환율 급등 상황에서 과도한 개입을 자제하고 시장 안정성을 우선한 정책을 펼친 것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외환 소진을 방지하고 시장이 자율적으로 균형을 찾아가도록 유도하는 방식은 외환보유고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더불어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화 강세로 인해 달러화 표시 자산의 평가액이 증가한 점도 외환보유고 증가에 기여했을 수 있습니다.

    외환보유고는 단순히 환율 방어만으로 결정되지 않으며, 운용 전략, 자산의 가치 변동, 외환시장 개입 방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환율 및 외환보유고와 관련된 변화는 국제 경제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 가까이 치솟으면서 외환 보유액이 환율 방어에 쓰였음에도, 금융기관의 연말 달러 예수금이 늘어난 덕에 전체 외환보유액은 줄지 않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