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갈릴레이의 목성 위성 발견이 지동설에 어떤 영향을 주게된건가요?

갈릴레이는 지동설을 주장하는 근거로서 목성의 위성이 큰 역할을 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목성의 위성발견이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천동설은 모든 천체가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고 보며 지동설은 태양이 중심이고 지구를 포함해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고 봅니다. 갈릴레이의 경우 지동설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고 알려져있는데 그 당시엔 이를 증명할 관측적 증거가 부족하였지요. 갈릴레이는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을 관측하였으며 목성 주변에 작은 별처럼 보이는 4개의 천체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이 목성 주위를 고언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게 되었지요. 천동설은 모든 천체가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고 하여는데 목성 주변의 작은행성들은 목성을 중심으로 돈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지구가 중심이 아닐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사고의 전환이 시작되게 되지요. 코페르니쿠스는 지구도 행성처럼 태양을 돈다고 하였고 다른 행성들도 자신만의 위성을 가질수 있다고 가능성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갈릴레이는 이러한 발견을 별의메신저라는 책을 통해 지동설의 신빙성을 높이고 천문학적 관측이 철학과 종교 교리를 바꿀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갈리레이가 목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위성을 발견한 것은 천동설(지구중심설)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천동설에서는 '우주의 중심에는 지구가 있고 모든 천체는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한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는 목성에 위성이 있다는 것은 받아들여질 수 없는 사실이 됩니다. 갈릴레이는 장시간의 관측을 통해 4개의 위성(가니메데, 칼리스토, 에우로파, 이오)이 목성을 중심으로 공전함을 알아내었고, 이 내용을 다른 천문학 관측 사실들과 함께 <시데리우스(별들의 전령)>이라는 책을 통해 알렸습니다. 목성이 위상을 갖는 다는 사실은 갈릴레이에게 천동설에 대한 의심을 더욱 확실하게 한 것입니다. 이후 금성의 위상 변화와 겉보기 크기 변화 등 다양한 사실들을 근거로 천동설이 잘못되었고 지동설이 옳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를 <두 개의 주요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라는 책을 통해 밝혔으며, 이로 인해 종교재판(?)을 받고 교회에서의 파문 및 평생 가택연금 등의 처벌을 받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