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

경제 용어 중에 시뇨리지라는 단어가 있던데 무슨 뜻인가요.?

경제 기사를 읽다가 보니 한국은행은 발행하는 통화를 통해서 시뇨리지를 얻게 된다고 하는데 도대체 시뇨리지라는 단어의 뜻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뇨리지 (seigniorage) 화폐 발행을 통하여 정부가 얻는 이익입니다. 화폐의 액면가에서 제조 비용을 뺀 것인데 '화폐주조차익', '화폐 발권 차익'란 단어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돈을 만드는 데는 여러 가지 비용이 들게 됩니다.

      예를 들면 동전의 경우에는 구릿값 등이 들게 되어 액면가보다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화폐의 액면가에서 제조 비용을 뺀 이익을 화폐주조차익을 시뇨리지라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뇨리지(seigniorage)란 봉건제도 하에서 시뇨르(seigneur; 영주)들이 화폐주조를 통해 이득을 챙겼던 데에서 유래한 말이다.중앙은행이 발행한 화폐의 실질가치에서 발행비용을 제한 차익을 의미한다.

    • 안녕하세요. 이관형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뇨리지효과는

      화폐 주조로 얻는 이익을 말하는데,

      이는 국제통화를 보유한 국가가 누리는

      경제적 이익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뇨리지라고 하는 것은 화폐를 발행하게 되는 액면가에서 해당 화폐를 제조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비용과 유통 비용을 뺀 금액으로 ‘화폐발행 차익’이라고 하는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