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d램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나요?
최근 뉴스 보니깐 중국의 d램까지 급속도로 성장중이라는데 그래도 삼성이 아직 d램분야에선 충분한 수익을 거두고 있는데 추루 d램 분야에서 수익성이 악화되면 삼성의 해외 모든 분야가 중국에 야금야금 뺏기고 있는데 그러면 삼성이제.. 소니 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중국의 D램 시장 진출이 거세지면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아직 D램 시장에서 상당한 수익을 올리고 있지만, 중국의 저가 공세와 기술력 향상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만약 D램을 비롯한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약화된다면, 삼성전자의 전체 사업 포트폴리오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소니처럼 한때 세계적인 기업이었지만 현재는 쇠퇴한 기업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과 같은 경우에는
D램에 있어서 생산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더불어서 우리나라와의 기술격차가 계속하여 줄어들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중국이 급성장을 하여 삼성에게 위협이 되고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는 중국에 반도체 기술 유출을 당했습니다.
현재 중국으로 기술을 유출한 직원을 재판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막대한 자금으로 기술의 유출을 유도하고, 유능한 인재를 빼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국의 행보는 스마트폰 자체 생산을 통해, 반도체까지 급성장하여 삼성전자로부터 벗어나려 한다는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강력한 경쟁자인 중국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나중에 거대한 중국 시장을 잃어버릴 확률이 높습니다.
막대한 매출 손실을 볼 것이며, 다시는 과거의 영광처럼 주가가 하늘 높이 상승하는 순간을 볼 수 없을지 모릅니다.
중국의 반도체 D램 분야 발전 속도는 매우 빠르며, 최근에는 자체적으로 HBM(High Bandwidth Memory)을 개발하는 등 기술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중국 최대 D 램 제조사인 창신 메모리 테크놀로지(CXMT)는 2023년 3분기 D 램 시장 점유율 6.0%를 달성했으며, 최근 자국의 칩 패키징 및 테스트 회사 통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와 손잡고 자체적으로 HBM을 개발했으며, 샘플 제품을 주요 고객사들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D램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이는 삼성전자를 포함한 한국 반도체 기업들에게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D램 시장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시장 점유율도 높지만, 중국 기업들이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키워가고 있는 상황입니다.중국 기업들이 가격을 낮춰 시장에 진입하면, 삼성전자의 이익률에 압박을 가할 수 있습니다.중국 기업들이 기술력을 높이면, 삼성과의 격차가 줄어들 수 있어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정치적 요인이나 무역 갈등 등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해질 경우, 삼성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 메모리 업계는 우리나라와의 기술 격차도 빠르게 좁혀가고 있는데요.
최근 2년간 중국의 CXMT 기업 생산량 증가로 중국 내 저사양 스마트폰·PC용 D램 시장은 이미 내줬고, D램을 쌓아 만드는 인공지능(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 양산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D램 메모리 산업은 중국 업체 CXMT 를 중심으로 정부의 메모리 육성 사업 지원으로 상당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D램이 주력품이나 22년 대비 24년 CAPA가 2배이상 급속도로 확장되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해 생산원가를 현저히 낮춰 현재 D램 가격의 하락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다만 기술력은 한국과 중국의 격차는 5년 정도로 우리가 앞서고 있으나 최근 삼성전자의 기술 유출등으로 조만간 강력한 자본으로 격차를 좁히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많은 사람들이 말씀하신것처럼 D램 및 반도체 시장 까지 중국이 추월하게 되면 삼성의 미래가 어둡다라고 걱정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중국의 기술력은 계속 발전하고 있고 삼성의 위기에 빠지게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항상 삼성은 초격차의 마음으로 또 다른 신사업을 발굴해서 다시 일어설거라고 생각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중국의 D램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현재 중국에서는 D램을 많이 생산하고 있으며
더욱 저가로 공급하기에 중국의 D램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로 인해서 삼성의 D램 시장이 중국에 넘어가고 있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 D램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국 메모리 반도체 회사인 CXMT가 생산량을 크게 늘리면서 내년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이 1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들은 구형 D램 제품을 중심으로 물량 공세를 펼치고 있고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삼성전자는 여전히 기술적으로 앞서 있지만 중국이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시장을 확대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