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밥상머리교육에 대해서 문의합니다
아이가 잘먹는편에 속하는데, 좋아하는 음식만 골라먹고
밥은 잘 안먹으려 해요.
상 위에 발을 올려 이놈 하고 혼내고
여기저기 움직이며 밥 먹으려 하구요.
혼내면서 밥상머리 교육 시켜도 될까요?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제 생각에는 혼내면서 밥상머리 교육을 하는 것보다는 긍정적인 접근 방식이 더 효과적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음식을 시도할 수 있도록 격려하되, 식사 시간에 규칙을 정해 주세요. 예를 들어, "식사 시간에는 앉아 있어야 해"라는 규칙을 세우고, 잘 지킬 때 칭찬해 주세요. 또한, 아이와 함께 요리를 하거나 식사를 준비하면서 음식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고, 식사 중 대화로 즐거운 분위기를 만들면 아이가 자연스럽게 집중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일관된 규칙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건강한 식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렇게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편식을 하고 식사는 자리에서 발을 올리는 행동을 한다면 이는 밥상머리 교육을 통해서 아이의 잘못된 식습관을 바로 잡아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편식을 하고, 식사는 자리에서 발을 올리는 행동을 취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좋아하는 음식만 먹고, 밥을 먹는데 식탁에 발을 올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좋아하는 음식만 먹는 것과 식탁에 발을 올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알려주세요.
더나아가 편식을 하면 우리 건강에 얼마나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설명해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의 밥상머리 교육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인데요. 아이가 잘 먹는 편이라도 식습관을 올바르게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밥은 잘 안 먹고 좋아하는 음식만 고르는 상황이라면, 다양한 식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긍정적인 식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밥상에 앉아 있을 때 편안하게 느끼도록 해 주고, 가족이 함께 식사하는 시간을 마련하여 일상적으로 식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아이에게 긍정적인 경험으로 남아, 식사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둘째, 모범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다양한 음식을 즐겁게 먹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도 따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사 중 다양한 음식을 함께 제공하고, 아이가 밥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셋째, 혼내는 것보다는 자연스러운 규칙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밥상에 발을 올리거나, 여기저기 움직이며 먹으려 할 때는 부드럽게 "여기는 밥을 먹는 자리니까 발을 내려놓자"라는 식으로 설명해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일관된 규칙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이해하고 따르도록 돕는 것이 좋답니다.
안녕하세요.
혼낸다는 느낌보다는 단호하고 일관적으로 훈육을 한다는 느낌으로 지도해 주세요. 단호한 지도와 긍정적인 격려를 함께 사용하여 식사 예절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심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밥을 먹지 않아도 간식을 통해 배고픔을 해결 할수 있으니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장난 하면서
이리저리 다니고 있죠 배가 고프지 않은 상태라고 볼수 있어요
지금 먹지 않아도 이따가 언제든 배고프다고 하면 엄마나 아빠가 먹을 것을 주니 아이는 밥을 먹을 때 집중하지
않게 되는 겁니다
우선 아이가 식사 시간에 밥을 먹지 않는다면 다음 식사 시간까지 밥을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식사 시간에 아니면 밥을 먹을 수 없다고 인지 하게 되면 식사 시간 에 밥을 잘 먹습니다
우선 편식하는 건 나중에 고치고 식사 시간에 돌아 다니지 않고 자리에 앉아 식사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잘못된 행동이 무엇인지를 인지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가 어떤것이 잘된 행동이고 어떤것이 잘못된 행동인지를 알 수 있도록 훈육을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아이가 밥을 먹는데 상에 바발을 올리는 행동을 한다고 한다면 이는 잘못된 행동이라고 따끔하게 훈육을 해주셔야 되겟습니다. 이러한 행위를 해줌으로써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모님께서 아이에게 관심을 보여주시고 이러한 행동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부모님의 역할이니 이 역할을 잘 수행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 밥상머리 교육을 하실땐 일관성을 지니고 아이와 약속을 통해 규칙을 정하여 규칙을 잘 준수하도록 하고 규칙을 잘 지키면 칭찬과 보상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밥상머리 교육은 중요하지만, 혼내느 대신 규칙을 차근차근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편안하게 식사할 수 있도록 흥미를 끌며 긍정적인 경험을 만들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좋은 습관을 가르치는 교육은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해주셔야 합니다.
훈육을 하기보다는 잘한 행동을 칭찬해서 올바른 행동으로 유도를 해주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식사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 주도록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편식하는 습관의 경우는 식판을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식판에 음식들을 골고루 담아서 그때그때 먹을 수 있게 지도한다면 많이 좋아 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자리를 이동해서 먹는 경우는 아이가 밥먹을때 꼭 한자리에서 먹도록 훈육하셔야합니다. 아마 어린이집 유치원을 가더라도 그런 것이 허용되지 않기에 가정에서 연습을 잘 해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