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초기, 중기에 유행한 절파 화풍이란 어떤 것인가요?
조선시대 초기와 중기에는 미술쪽으로 절파 화풍이라는 것이 유행했다고 들었습니다
절파 화풍이라는 것은 어떤 특징을 가진 화풍이라 할 수 있나요?
절파 화풍으로 그려진 대표적인 작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대표 화가에는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절파 화풍이 다른 화풍들과 차이가 나는 것들이 어떤 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파(浙派)는 중국 명대에 회화 중 주로 산수화에서 오파(吳派)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탄생한 저장성(浙江省,) 항주(杭州) 출신의 대진(戴進)을 시조로 하는 직업화가의 일파를 말합니다.
절파 화풍의 특색은 절강지방의 전통적 수묵법을 기반으로 하고 필묵이 거칠고 자유분방하며, 점경(點景) 인물의 극적인 표현과 묵면(墨面)과 여백의 대비, 율동감 등을 강조하는데 있습니다. 하지만 웅건(雄健)하고 뛰어난 필치의 표현 과잉으로 오히려 부산스럽고 딱딱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우리나라의 절파 화풍의 화가는 조선 초기 강희안과 그가 그린 '고사관수도'가 대표적입니다. 16세기 중기로는 문인화가 김시(동자견려도), 이경윤(고사탁족도)과 17세기 김명국(설경산수도)과 같은 화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