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밀복검이라는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구밀복검이라는 고사성어는 말로는 좋게 얘기하나 속으론는 음흉한 의도를 감추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口蜜腹劍(구밀복검) : 입 구, 꿀 밀, 배 복, 칼 검
「 입으로는 꿀같은 말을 하지만 뱃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 」는 뜻으로 겉으로는 남에게 친절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뜻을 품거나 헐뜯는 것을 말하지요.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唐) 현종(玄宗 : 712 ∼ 756)은 즉위 후 개원 연간에는 국사를 잘 펼쳐 개원지치(開元之治 ; 713 ~ 741)를 이뤄 성군으로 칭송을 받았으나 745년 양옥환을 귀비로 봉한 후 그녀를 매우 총애해 양국충을 등용하며 점차 국사를 멀리했고 당은 쇠락하기 시작합니다. 당시 당 조정에는 이임보라는 신하가 있었는데 그는 황제의 비위를 맞추면서 충신들의 간언을 현종의 알지 못하도록 뇌물을 듬뿍 뿌리며 환관과 후궁의 환심을 사며 전횡을 일삼았습니다. 그는 당을 뿌리채 흔든 반란을 일으킨 하동절도사 안록산이 두려워 할만큼 대단히 음험한 자로 뇌물로 환관과 후궁들의 환심을 샀고 현종에게 아첨을 일삼아 재상의 자리를 차지합니다. 재상이 된 그는 양귀비를 총애하는 현종을 더 유흥에 빠지게 했고 홀로 국사를 쥐락펴락 했습니다. 이임보는 만약 현종에게 직언하거나 자신과 생각을 달리하는 자가 있으면 반드시 그 신하를 없앴는데 그 방법이 매우 간악하여 제거하려는 상대를 한껏 칭찬한 뒤 그를 모략해 거세했습니다. 이처럼 겉과 속이 다른 이임보의 모습을 지켜본 다른 신하들은 모두 그를 두려워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 이임보는 입으로 꿀 같은 말을 하지만 뱃속에는 무서운 칼이 들어 있다. ”라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구밀복검 뜻 > 입에는 꿀을. 배에는 검을 가지고 있는 인물의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을 의미하는 합니다.
유래 > 당나라 현종이 천한제일 미녀 양귀비에게 반하여 정사를 멀리하고 있을 때의 일 입니다.
이임보 라는 재상이 있었는데 그는 태자를 비롯하여 유명한 무장 안녹산 까지도 두려워 하는 전형적인 정치가 였습니다. 뇌물로 환관과 후궁들의 환심을 하는 한편, 현종에게 아첨하여 재상이 된 이임보는 현종의 유흥을 부추기며 조정을 마음대로 좌지우지 하였습니다. 그리고 바른 말을 하는 충신이나 자신의 권위에 위협적인 신하가 나타나기만 하면 가차 없이 제거 하였습니다. 그는 정적을 제거할 때 먼저 상대방을 한껏 추켜올린 다음 뒷통수를 치는 이른 바 겉과 속이 다른 수법을 썼기 때문에 사람들은 모두 그를 가리켜 이렇게 수군 거렸습니니다 . “이임보는 입으로 꿀 같은 말을 하지만 뱃속에는 무서운 칼을 품고 있는 사람이다” 라고요 여기서 구밀복검이 유래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겉으로는 친절하게 대해 주지만, 속으로는 해칠 뜻을 품거나 뒤에 가서 헐뜯는 것을 의미하고 자치통감에서 나온 말이며, 당현종의 고사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현종은 치세 초기에는 측전무후이후 어지러워진 정세를 바로잡아 당나라를 안정시키는 데 성공하는 등, 여러모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사랑하는 처까지 잃은 터라 우울증이 매우 심해졌는데 양귀비라는 미인을 만나게 되면서 정서를 돌보지 않고 주색에 빠져들기 시작했고 이때 이임보라는 희대의 간신이 있었는데, 환관에게 뇌물을 바치고 양귀비에게 들러붙어 현종의 환심을 산 뒤, 재상의 자리에 왈랐는데 후대에 이를 가르켜 무밀복검한 인물 이라고 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나라 현종 때 재상 이임보는 황제 앞에서는 아첨을 잘하고 나긋나긋 했지만 성질이 사악하고 음험하며 미운 정적은 무슨 죄목이든 붙여 가차없이 숙청해 모두 그를 미워하고 두려워했다. 중서시랑 엄정지는 그런 이임보를 상대도 하지 않았으므로 이임보는 엄정지에게 없는 허물을 뒤집어씌워 그를 지방관으로 내쫓아버렸는데 현종은 엄정지가 그리워 이임보에게 말했다.
-짐이 보건대 엄시랑만한 인물이 없는 것 같은데 형편을 알아보고 가급적 불러올리도록 하라
어전을 물러난 이임보는 엄정지의 아우를 불러 말했다.
-폐하께서는 그대의 형님을 잊지 않고 계시네. 그러니까 병 치료 때문에 상경하고자 하니 허락해줍시사 하고 형님한테 청원서를 올리도록 하라고 전하게나
엄정지의 아우는 형의 복직이 이루어지나보다 싶어 달려가 이야기했고 엄정지 역시 간교한 복선이 있는 줄 모르고 이임보고 시킨 대로 청원서를 올렸다. 이임보는 그 편지를 증거로 삼아 황제에게 아뢰었다.
-보시다시피 엄정지는 병이 있는 몸이라 조정의 중임을 맡기기에는 힘듭니다. 지금 그대로 두심이 나을 듯 싶습니다.
사정이 그렇다면 부득이하다는 생각이 든 현종은 엄정지의 상경 문제를 없던일로 했고 현종은 학문이나 기예가 뛰어난 사람을 발탁해 무겁게 쓰고자 인재들을 도성에 모이도록 했다. 그러나 이임보는 그들이 황제 앞에서 자기의 비위 사실을 말할까봐 한 사람도 대궐에 불러들이지 않았다.
이임보를 두고 세상 사람들은 '입에는 꿀이 발라져있고, 뱃속에는 칼이 들어있다'고 말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입으로는 달콤함을 말하나 뱃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친절하나 마음속은 음흉한 것입니다.중국 당나라 이임보라고 중국역사상 최악의 간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마광의 자치통감에서 먼저 나온 것으로 압니다. 구밀복검은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꿀맛같이 친한 척하지만 내심으로는 음해할 생각을 하거나, 돌아서서 헐뜯는 것을 비유한 고사성어로 증선지(曾先之)의 《십팔사략(十八史略)》 및 사마광(司马光)의 《자치통감》 등에 나온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