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5.09

보통 경제침체가 왔다는 것은 경제지표에서 어느것을 보면 좋을까요?

거의 경제침체가 오기전에 경제공부를 하는사람들은 지표를 보면서 감을 안다고 하는데

경제침체전에 어느 경제지표를 중심적으로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지훈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지훈 경제전문가
    메가
    23.05.10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될 경우 경기침체는 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체율의 증가나 실업률 증가 소비판매 부진도 침체를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전미경제연구소에서 2분기 이상 연속으로

    GDP가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을 때에 발표하는 것이나

    여러가지 경제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실업률의 증가와 기업들의 재고자산 증가 및 기업들의 실적악화, 그리고 소비침체현상을 살펴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가 왔다는 것을 GDP 성장 폭의 감소와 실업률의 증가를 보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GDP는 국내총생산으로, 국가의 경제활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합산한 값입니다. 보통 2분기 연속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하면, 경기침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은 실업률 입니다. 경기가 침체국면으로 들어가게 되면, 기업들은 비용을 감축하기 위해서 고용을 축소하거나, 정리해고를 단행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실업률이 상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