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꾀꼬리
꾀꼬리24.04.27

습진이나 무좀이 생기는 이유는?

나이
70
성별
남성

70평생 무좀이나 습진이 없었는데 몇주전에 지름 1센티의 둥그런 물집같은것이 생겨서 구멍을 내봤으나 물기는 없었고 껍질만 벗겨졌는데 점점 발바닥이 드라이해지며 껍질이 벗겨지는데 왜 그런지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올려주신 사진 속 병변은 무좀이 생각됩니다.

    무좀균의 접촉과 통기기 좋지 못한 신발 착용, 습한 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발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관리하고 무좀 연고에 효과가 없다면 약물치료가 필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습진과 무좀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일부 환자분들이 발바닥의 피부가 변하고 벗겨지는 증상을 보여 무좀이라 생각하고 연고를 발라봤지만, 효과가 없어 피부과를 찾아오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 발생한 것은 습진인데, 이를 무좀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습진과 무좀은 증상이 매우 유사하여 비전문가가 쉽게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습진과 무좀의 차이를 설명하겠습니다.

    무좀은 진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지만, 외부 감염이 있어야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반면에, 습진은 감염 없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무좀과는 다른 질환입니다. "습진"이라는 용어는 피부염과 동일한 말로 사용되며, 원인과 증상이 다양합니다. 접촉피부염, 지루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및 건선 등이 습진의 일반적인 종류입니다.

    무좀과 습진은 피부 각질층의 변화, 가려움, 염증 및 통증과 같은 공통된 증상을 보이지만, 원인이 다릅니다. 무좀은 진균 감염에 의한 것이고, 습진은 다양한 외부 또는 내부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좀과 습진을 구별해야 합니다.

    특히 외부 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접촉성 피부염과 무좀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대표적인 증상으로 붉은 반점, 갈라짐, 벗겨짐, 작은 물집 및 진물을 보입니다.

    무좀과 습진은 비전문가에게는 구별하기 어려운 외부적인 증상을 나타내므로,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 경우에는 가까운 피부과를 방문하여 진단 받는 것이 좋습니다.

    습진과 무좀의 예방 및 치료 방법은 비슷합니다. 여름에는 발을 청결하게 하고 통풍을 유지하여 습기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발이 너무 건조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보습 관리가 필요합니다.

    피부과에서는 물집과 진물을 동반한 급성 습진의 경우 환부를 소독한 후 염증을 줄이는 연고를 사용하고, 만성 습진의 경우 주로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약제 사용에 있어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