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등자의 등장으로 인해서 기병전의 양상은 어떻게 바뀌었나요?

말을 탈 때 균형을 잡기 위한 발 받침대인 등자가 발명되면서 승마술에는 어떤 변화가 생겼으며 기병전의 전투 양상이나 형태에는 어떤 변화들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등자는 기병이 말 위에서 더 안정적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해 주어 무거운 갑옷을 입고도 자유럽게 무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적진을 돌파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즉 기병이 활이나 창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전투에서 위력을 크게 증가시켰습니다. 등자의 사용은 기병 중심의 전술 발전을 촉진하여 보병보다 기병이 전쟁의 주도권을 잡게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저도 역사교육을 전공하고 대학에서 역사를 공부하며 등자에 대해서 알게 되었는데요. 사실 말을 타는 모습을 보면 항상 등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등자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지 못 했었는데요. 말이라는 동물은 강인하고 먼 거리를 달릴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상당히 민감하고 거친 동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말 위에 올라서 활을 쏘거나 창을 들고 공격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가 상당히 고난이도의 전투였습니다.

    그리스 시대의 기병을 보더라도 이미지를 검색해보시면 등자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 등자는 서양에서 개발된 것이 아닌 동북아시아 초원지대를 누비던 유목민족에 의해서 등자가 사용되었고, 이것이 서양으로 전해져 서양의 기병 기사들에게 혜택을 안겨주게 됩니다.

    등자가 없다면 그 무거운 서양의 기병무기들을 입고, 들고 전투를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기에 등자가 개발, 보급되면서 기병들의 공격력이 보다 올라갔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