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한가한듀공86
한가한듀공8623.06.06

일반닭과 토종닭의 차이점이 있는건가요?

일반닭과 토종닭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건가요?

어떤차이점이 있는건가요? 맛이틀리나요?아님 크기나 품질이 틀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보통 토종닭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이 안에서도 의미가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한우와 같이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사육되어 다른 품종과 섞이지 않고 순수 혈통을 유지한 재래종 토종닭입니다. 다른 하나는 외국에서 품종이 개발되었지만 국내에 순계가 도입되고 7세대 이상 사육되어 우리나라 기후와 풍토에 완전히 적응한 개량종을 토착종 토종닭이라 부릅니다.

    • 예전 우리나라에서는 달걀을 얻기 위해 주로 재래종 토종닭을 길렀습니다. 그런 닭을 잡아 요리를 만들어주는 것은 그만큼 귀한 손님을 대접한다는 의미가 컸습니다. 오랜만에 딸과 함께 온 사위에게 토종닭을 잡아 음식을 해 주는 것도 각별한 의미를 담은 상차림이었던 것입니다.

    •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은 뒤 토종닭은 달걀을 적게 낳는다는 이유로 사육농가가 급격히 줄었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양계업이 활성화되면서 일본에서 들여온 개량종에 한 번 밀려 난데다 6·25전쟁으로 인해 토종닭의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전쟁 후 복구사업의 일환으로 육계 전용종이 미국에서 수입되면서 재래종 토종닭을 만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 농촌진흥청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모은 재래닭의 품종을 복원하고 닭고기 산업에 적합한 실용계를 생산하기 위해 1992년부터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1992년에는 축산기술연구소 대전지소에서 기초자원 수집과 복원사업을 진행했습니다. 1994년에는 농림부, 축산기술연구소, 양계협회, 서울대, 충남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재래닭 육용화 연구사업을 추진했습니다.

    • 현재 농촌진흥청에서 보유한 토종닭 순계는 6계통의 재래종 토종닭부터 토착종 토종닭인 코니쉬, 로드아일랜드레드, 화이트레그혼 등 다양한 품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경기도 파주의 현인농원, 경상북도 영양의 닭실재래닭연구소 등에서 재래닭을 유전자원으로서 꾸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