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코인들이 큰 상승을 한후 일반적으로 조정가격인 상승분의 몇프로 정도로 보는 것이 맞나요?
알트코인들이 비트코인과는 별개로 큰 상승을 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어떤 코인이든지 조정은 반드시 온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알트코인들의 경우 20% 상승을 했다 가정하고
20% 상승후에는 대략적으로 상승분의 몇프로정도까지 빠지는 것이 조정이라 정의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정의를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같은 경우도 1억 원 다음에 7천까지 떨어졌었고 이번에는 1억 5천을 넘겼다가 또 2000 정도 떨어지고 1000정도 오르고 이렇게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몇 프로다라고 볼 수는 없을 거 같습니다 이득이 생기면 파는 것은 당연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알트코인이 상승한 후 조정되는 정도는 상승폭과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에서 30% 정도의 조정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과거 시장에서 관찰된 패턴으로, 상승 후 일정 부분의 이익 실현과 시장의
자연스러운 조정이 해당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정폭은 시장의 변동성, 투자자 심리, 외부 요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20% 상승으로 가정하면 5~8%정도 빠지고 다시 상승하면 조정이지만 상승분의 절반 이상을 하락시킨다면
흐름이 꺾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정과 추세가 꺾이는 것은 한끗 차이이기 때문에 알트코인 투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그건 알트코인 마다 다 달라서 애매한데, 일단 비트코인 2-30프로 빠지면 알트코인은 반토막이상 나는게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알트코인들이 큰 상승을 한 이후 일반적으로 조정 가격인 상승분의 몇 퍼센트로 보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알트코인의 조정은 정확히 얼마다 라고 말하기가 힘듭니다.
많게는 올린 것을 다 빼버리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반감기 때 알트코인의 대상승장이었던 2019년과 2021년의 알트 코인 차트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적게는 30~40%정도 하락했으며 많이 하락한 코인은 50%이상 하락한 것도 있습니다. 이 중에는 아직도 전고점을 달성하지 못한 코인이 있을 정도로 하락폭이 심했습니다.
반감시 시즌의 조정에는 하락폭에 대한 기준이 없으며 50%이상 하락 할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알트코인의 종류에 따라서, 그리고 당시 어떤 이슈가 있는지에 따라서 급등한 뒤에 조정은 차이가 있습니다.
세력에 의해 반짝 상승했다면 사실 다시 조정될때 이전 가격으로 하락하는 경우도 많고, 밈코인 등 투기심리로 상승하는 것들은 조정 %가 4~50%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휴..매우 어려운 질문이네요.
이는 크립토 전체적인 추세의 흐름이 어떤 지에 따라 달라질 것 입니다.
만약에 추세가 상승장이라고 가정 할 경우 일반적으로 비트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다르겠지만 비트 하락 대비 조금 더 대략 5%~10%정도 더 하락폭이 있다면 조정으로 감안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개별 종목 별로 추세와 지지/저항이 다르기 때문에 종목 별로 이 부분도 함께 체크를 해야 하겠죠.
중요한 것은 역시 비트 입니다. 만약에 비트가 횡보 시 개 별 종목이 20% 상승 후 조정을 받게 된다면 조정 시 큰 저항구간대에서 조정을 받았는지 그리고 지지라인과 추세를 깨지 않는 범위에서 조정을 주는지 잘 체크를 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