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에서 고려가요의 갈래 구분을 잘 모르겠어요
학교에서 문학시간에 배우는 작품들이 있는데, 고려 가요, 고전 시가, 가사 와 같은 말들이 많이 나와요,, 그런데 각각이 무슨 특징을 가지는지도 잘 모르겠고 너무 헷갈려요. 갈래에 대한 이해를 하는게 정말 중요한데 좀 답답해요 ㅠㅠ
고려가요와 가사, 고전시가, 교술갈래의 뜻과 각각의 중요한 특징, 배경 설명, 구분 방법이 궁금해요(학교에서 배루는 작품은 규원가, 선상탄, 정석가가 있습니당)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고려가요는 고려시대에 창작된 노래(속요[俗謠])로 고려속요라고도 불리며, 고려가사라고도 불립니다. 고려사 악지, 시용향악보, 악학궤범, 악장가사 등에서 약 40여편이 전해집니다(관동별곡[정철의 관동별곡과는 다름], 죽계별곡, 한림별곡, 처용가, 가시리, 동동, 청산별곡 등).
가사는 조선초기에 창작된 시조와 산문의 중간 형태의 문학으로, 길이의 제한이 없고, 4음보의 율격을 가집니다. 관동별곡, 상춘곡등이 있고 여성들의 작품인 규방가사(내방가사라고도 불리우며, 작품으로 조침문등이 있음)도 포함합니다.
고전시가는 개화기 이전까지 창작된 한국의 시와 노래는 모두 포함하는 가장 넓은 개념으로, 우리말로 된 노래, 한자로 쓰인 한시, 공무도하가나 황조가와 같은 상고 시가, 향가, 위에서 언급한 고려가요와 가사, 경기체가, 시조, 잡가등을 포함합니다.
교술 갈래는 작가의 경험이나 생각, 통찰등을 작가가 독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종류의 글을 이야기합니다. 교술은 형식과 표현이 비교적 자유롭고, 화자나 서술자를 통해 내용을 전달하는 다른 문학 갈래와 구별됩니다. 수필, 기행문, 서간, 일기, 설(說, 차마설이나 슬견설 등), 기(記)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