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준 수요 곡선에서 왜 수평선이 등장하나요?
페더럴 펀드 이자율과 지준량의 관계를 표시하는 함수에서 페더럴 펀드의 이자율이 지준에 대해 지급하는 이자보다 낮다면 그 이후부터는 그래프가 우하향하는 모습이 아닌 수평선을 보이던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준수요곡선에서 수평선이 등장하는 이유는 초과 지준상태에서는 은행들이 더 이상 지급준비금을 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은행이 지준을 충분히 가지고 있으면 금리가 낮아도 더 안가져가니깐 지줒ㄴ수요곡선이 수평선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준 수요 곡선에서 수평선이 등장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준 수요 곡선에 수평선이 등장할 때는 주로 중앙은행이 목표 금리를 설정하고
그 금리에서 무제한으로 지준을 공급하게 되면 나타나는 선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페더럴 펀드 이자율이 지급준비금에 지급되는 이율보다 낮아지게 되면 은행들이 지급준비금 수요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지급준비금 보유량이 증가하지 않는 모습을 보입니다. 은행들은 지급준비금을 보유하는 데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는 지급준비금을 최대한으로 보유할 수 있어 공급 곡선이 수직으로 나타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죠.
지급준비금 공급 곡선이 수직이 되면 무제한 보유가 가능하다는 것으로 지급준비금 시장은 완전 탄력적이 되어 공급 곡선이 수평선을 그리게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래프가 수평선을 보이는 이유는, 지준의 기회비용이 지급준비금에 지급되는 이자보다 적다면, 모든 은행이 1일물 지준시장(페더럴펀드 이자율)에 대출하지 않게 되고 지급준비금을 중앙은행에 예치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다시말해서 은행들은 무제한으로 초과지준의 보유를 증가시키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페더럴 펀드금리는 은행 간 단기 자금 시장에서 적용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연방기금의 금리보다 페더럴 펀드금리가 낮아지면 은행은 다른 은행에 대출하기보다 연방준비은행에 예치하는 것이 더 이득이 되므로 수평선을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준 수요 곡선에서 수평선이 나타나는 주된 이유는 중앙은행이 초과지준에 지급하는 이자율이 기준 금리보다 높을 때 은행들이 자금을 시장에 대출하지 않고 모두 중앙은행에 예치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초과 지준 보유의 기회비용이 사라져 은행들은 이자율 변동에 관계없이 무제한으로 지준을 보유하려 합니다. 따라서 지준 수요량이 이자율에 완전 탄력적이 되어 수요곡선이 수평선 형태를 띠게 됩니다. 이 현상은 통화정책의 전달 메커니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