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우람한개미핥기191
우람한개미핥기19122.12.23

내년에 경제가 그렇게 안좋은건가요?

요즘 내년에 경제가 안좋다고 하는데 도데체 우리나라는 무슨 이유로 어려운건가요?? 똑똑하신 분들이 많으신데도 안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네 본격적인 경기 침체 진입으로 보시면 됩니다. 경기침체는 경제 성장율 최저 수준으로 하락, 실업율 급증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는 수출 무역수지를 보면 쉽게 알수 있습니다. 현재 11개월 연속 마이너스로 IMF 이후 역대 최장기간 무역수지 마이너스를 기록 중입니다. 내년엔 더 심할거라 예상되고요.

    문의 주신 똑똑한 사람이 많아도 소용없는지에 대해서는 그거랑은 아무 상관없습니다. 한국보다 더 유능한 사람이 몰려 있는 미국 연준이나 유럽 ECB 에서도 경기침체는 답이 없습니다. 시간이 답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3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경제는 전기비 0%대 성장세가 지속되고, 경기선행지수가 하락세로 재전환되면서 경기 둔화 또는 침체 우려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즉 2023년 한국 경제는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면서 2022년에 비해 성장률이 소폭 둔화될 전망고 있어요. 2023년에는 주요국의 성장세가 약화되고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고환율 등으로 국내 순수출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세계 적으로 급격한 물가 인상 현상이 발생하면서, 금리 인상 또한 역사상 최고로 가파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시발점입니다. 금리 인상을 시작하면 화폐의 가치 상승을 의미하기 때문에 소비 위축, 기업 투자 감소와 같은 경기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들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가계부채가 GDP대비 104% 수준으로 전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가계 경제가 부채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부채에는 이자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최근에 급속도록 금리가 인상이 진행되면서 각 가계가 부담해야하는 이자 부담이 매우 가중되어 있는 상황 입니다.

    그렇다면 금리 인상을 안하면 되지 않느냐를 질문이 생기실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미국 및 여타 다른 선진국 들과의 금리격차가 벌어지면서, 한국에서 자본이탈 현상이 가속화 됩니다. 그렇게 되면 원화의 가치는 더욱 더 떨어지게되고 수입물가가 급등하는 등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당히 안좋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미 연준에서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 현재 단기국채 이자율이 장기국채이자율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매우 안좋은 신호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정우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내년에 경제가 안 좋다라는 것은 기업들의 실적이 약화될것이기 때문이죠. 금리 인상여파로인한 실적발표가 내년인데 그것이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지표상 그런것이지 실제로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드라마틱한 체감적 영향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