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로맨틱한갈기쥐215
로맨틱한갈기쥐21522.08.15

발톱무좀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나이
4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무좀

다름이 아니라 발톱에 무좀이 엄지 새끼 발가락에 있는데 생긴지는 1년정도 되었는데 발톱관리하는데 가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기계 같은걸로 갈고 집에가서 약바르면서 발톱이 자라면 또가서 치료받았는데 효과가 그닥없는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먹는약을 받아볼까 하는데 독하다는 말이 있던데 얼마나 독하고 금방 나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무좀은 곰팡이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곰팡이균은 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꽉막힌 신발이나 오랫동안 신발을 착용하시는 경우 습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무엇보다도 습한 환경을 개선해주는 것이 근본치료가 됩니다. 항진균제 연고를 주기적으로 발라주시고, 자주 발을 통풍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 무좀은 무좀균에 의해 손 및 발에 발생하는 피부 질환으로 이 무좀균을 제거 하여야 치료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무좀이 있을 경우에는 무좀균을 죽이는 항진균제 연고를 발라 치료를 시도하는데, 특히 무좀이 손발톱 밑에 있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치료가 잘 되지 않을 경우에는 경구 항진균제를 통해 치료를 하여야 합니다. 치료와 동시에 이전에 사용하던 양말과 신발류는 폐기하는 것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선 피부과에 방문하시어 진료 및 처방을 받아 치료를 시작하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먹는 무좀약이 독하다는 의미가 정확히 어떤 뜻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복용하는 경구약물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경구약물을 복용하면서 연고를 바르면 무좀 치료에 훨씬 효과가 큽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조갑백선(진균감염증)의 경우 연고는 해당부위에 잘 침투하지 못하므로 경구용 약제를 장복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해당 약물은 간독성 및 약물 상호작용이 있어 직접 내원하여 의사의 진료 및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 을 받으시고 처방이나 조언을 따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수개월이 걸릴 수 있고 흔하게 간독성이 나타나므로 주기적으로 혈액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금방 안낫습니다.

    관리하면서 살아야하고요

    약먹으면 일시적으로 없어지는 효과는 있더라구요

    지나면 다시 재바 ㄹ하긴 합니다. (대부분)


  • 안녕하세요. 노진수 의사입니다.

    무좀때문에 고생하고 계시군요. 바르는 약으로 치료 효과가 없으면 먹는약을 써볼 수 있으나

    약을 쓰기 전 간수치 등 피검사를 하게됩니다. 약은 경과에 따라 보통 1달 전후 투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