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젊은몽구스151
젊은몽구스15122.09.22

지구상에 나타나는 오로라는어떻게해서 나타나는것일까요????

지구상에 나타나는 오로라현상은 어떻게해서 만들어지는것일까요?

정말 아름답게 비어오르는오로라 직접보고싶은대 나타나는곳에만 발견되는 현상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22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 지구의 대기로 낙하하는 전자와 대기중의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 빛을 발산하게 됩니다. 이것이 오로라 입니다. 이 빛은 태양빛 보다 약하여 주로 밤에 관찰할수 있습니다. 주로 극지방에서 나타나는 이유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대전입자가 지구가까이에 오면 대부분 지구자기장 밖으로 흩어지지만 그중 일부는 지구자기장에 붙잡혀 남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됩니다. 하여 대전입자들은 양 극지방에만 모이게되어 양극지방에서 오로라가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대기에는 여러 이온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이온들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방사선이나 전자기파의 영향을받으면 에너지를 받아 여러빛을 방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


    지구의 자기장특성상 극지방에 이온들이 몰려있어 오로라가 더 잘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지구 자기장에의해 나선운동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

    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이 원인입니다.

    태양풍이란 태양의 상층대기가 팽창하여, 플라스마 입자가 우주 공간으로 빠른 속도로 불어나가는 것입니다.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인데, 북극이 N극인 큰 자석입니다.

    태양풍이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의 자기장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서로 연결됩니다.
    이 때, 자기장끼리 연결되면 플라스마 입자가 자기력선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것이 오로라를 일으키게 되고, 북극권과 남극권에서만 볼 수 있는 이유가 됩니다.


  • 빛의 산란현상입니다. 비가 온 후에 햇빛이 나면 무지개를 볼 수 있죠. 태양에서 오는 빛이 둥근 지구에서 대기라는 간섭을 통해 산란 흡수 반사 등 복합적으로 반응이 되어 우리눈에는 아름다운 빛의흐름처럼 보이는 겁니다. 물론 자기장. 중력. 전기장 등도 같이 작용이 되고요. 그렇게 제한적인 부분이 있다보니 북극과 가까운 지역에 밤에 관측이 되고요. 저도 꼭 한번 보러가고 싶어요.


  •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쉽게 말하면 태양에서 발산되는 전기입다 플라즈마가 지구로 날아오는데 이게 지구에 자성이 있는 부분에서 오로라가 생성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선 관측하기 어렵고 대부분 자성이 강한 북극과 남극에서 관찰됩니다.

    참고로 오로라가 잘 발생하는 곳으로 캐나다 옐로나이프가 있습니다. 4~5일 머무르시면서 보시면 관측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해요.

    궁금증이 조금은 해결되셨길 바라며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