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늘슬림한정치인
늘슬림한정치인

Cu와 Cu²+ 차이점 알려주세요..

제목 그대로 입니다... 색이 왜 다른가요ㅠㅠ?? 구리는 붉은색이고 구리2플러스는 푸른색인가요... 같은 구리 아닌가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구리(Cu)와 구리 이온(Cu²⁺)은 같은 원소이지만 전자를 잃은 상태가 달라지면서 전자구조나 결합 방식, 빛과의 상호작용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색이 완전히 달라지는 것입니다.

    우선 Cu는 전자가 매우 많은 금속 덩어리인데요, 금속 구리는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금속 결합 상태입니다.

    이 자유전자들이 빛을 흡수·반사하는 과정에서 붉은빛을 반사하는 성질이 나타나며, 우리가 보는 금속 구리의 색이 됩니다. 금속 구리색은 금속의 자유전자에 의한 집단적인 전자 반응인 플라즈몬 때문에 결정되고, 개별 원자의 d–d 전자전이보다는 전체 금속의 전자 바다가 색을 좌우합니다. 그래서 금속 구리 그 자체는 붉은색 또는 주황빛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Cu²⁺는 금속 결합이 아니라, 물 분자(H₂O) 같은 리간드가 둘러싸고 있는 착이온 상태인데요 전자를 2개 잃은 Cu²⁺는 3d 전자 배치가 [Ar] 3d⁹로, 여기서 1개의 빈 자리가 만들어집니다. 이 구조에서는 빛을 받을 때 전자가 d 오비탈 사이에서 d–d 전자전이를 일으키며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합니다. Cu²⁺ 착이온은 오렌지~빨간색 계열 파장을 흡수하고, 흡수되지 않은 푸른빛이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청색 또는 청록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구리와 구리이온은 같지만 다릅니다 구리이온은 반응성을 가지고 있는물질로 이미 다른물질과 결합되어있는 상태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하나는 고체이고 하나는 액체상태이기 때문입니다.

    Cu 는 구리로 중성으로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순수한 구리의 색은 붉은색을 띕니다.

    반면 Cu2+는 전자 2개를 잃어서 양이온인 상태로 물과 같은 곳에 녹아 수용액 상태로 존재합니다. 구리가 물과 반응하여 녹아 수용액 상태로 존재할 경우 물 분자에 둘러 쌓여 푸른색을 띄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구리(Cu)와 구리 이온(Cu²⁺)은 같은 원소이지만, 같은 구리 원소라도 금속 상태(Cu)와 이온 상태(Cu²⁺)는 전자 구조가 달라 빛을 다르게 흡수·반사합니다. 그래서 금속 구리는 붉은색, Cu²⁺ 이온은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