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영특한라마카크39
영특한라마카크3922.06.03

4세아이 아토피는 아닌데 간지럽다고

병원이서 피부관련 질환은 없다는데 아이가 자꾸 가렵다고 긁는통에.피부가 올라옵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수딩젤을 발라주고 보습도 많이 해주고는 있는데 쉽게 가라앉지가 않아요

여아인데 피부 상할까봐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2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름처럼 샤워하던 습관을 버려야 합니다. 피부가 건조할 경우 과도한 세정은 피부의 유•수분을 동시에 제거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씻는다고 피부가 좋아지는 것은 아니므로, 매일 씻는 습관은 버리고 목욕은 주 1~2회 정도면 충분하며, 가벼운 샤워는 매일 해도 무방하지만 겨울철에는 하루 건너 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부건조증 증상이 보인다면, 샤워 회수를 더욱 줄이거나 샤워 후 보습제 사용을 꼼꼼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습을 위처럼 꾸준히 해주시는것이 좋으며 특별한 질환이 없다고 하면

    식사에 있어서 개선해주는것도 좋습니다.

    알러지 반응까지는 아니더라도 아이가 거부감이 느끼는 무언가가 있을수있기에

    하나씩 변경해가면서 체크해주면서 아이가 어떤음식에 예민감을 보이는지 파악해보는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집안 환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실내가 덥지 않은지, 너무 건조하지는 않는지 점검해 보시기 바라며, 아이 옷도 피부에 자극이 덜한 옷을 입혀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금더 큰병원을 방문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아니면 병원에서 다른 알레르기가 있을 수도 있으니 알레르기 검사를 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실 병원에서 아무이상이 없다고 하면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로션을 꾸준히 발라줘서 보습을 지속적으로 해주시고, 시원한 생활환경을 만들어 주시는거 말고는 특별하게 방법이 없습니다. 특히 아이기 땀을 흘리지 않도록 시원한 생활환경을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

    아토피가 아니라고 이미 진단받으셨다면

    또한 피부감염이 있는 건지도 확인 받으셨을 듯 합니다.

    이런 경우,

    병원에선 약한 스테로이드 연과와 항히스타민을 처방하는데

    진단명이 나오지 않더라도

    단기간 위의 약을 바르고 복용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흔히 진단명이 안 나오면 처방받은 약을 사용하지 않으시고 보습만 하시는데

    그러지 않으시도록 권유드립니다.)

    다만,

    특별한 문제도 없이

    지나치게 긁는 증상이 지속된다면

    아이에게 강박증상이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하셔야 합니다.

    이 경우, 어떤 상황에서 유독 간지럽증이나 긁는 증상이 심해지는 지 확인하시고 난 후

    소아청소년과로 재내원하셔서 꼭 확인받으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자주 씻으면, 피부의 유.수분을 제거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으며, 샤워 후 보습을 꼼꼼히 해야 합니다.

    몸에 꽉 쪼이는 옷, 피부에 자극을 주는 모직물, 털옷은 피하시고, 면으로 된 옷을 입혀 주는 게 좋습니다.

    로션 타입 보다는 크림 타입의 바디크림을 쓰는 게 피부에 도움이 됩니다.

    실내 온도는 더우면 아이의 피부가 가려워지기 때문에 실내 온도를 낮추는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큰병원에 다시한번 방문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큰병원 대학병원에서 다시한번 검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