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남다른파리매229
남다른파리매22920.12.08

연금보험 들어야하나요?? 어떤 연금보험을 들어야할까요??

곧 연말정산인데 연금보험을 들어야한다는 사람이 있고 아닌 사람이 있습니다.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공제받는건 좋은거 같은데 많은 돈이 너무 오래 묶여있는점과 과연 보험에서 보장하는 연금보장률이 나올지가 의심스럽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12.09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성준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도 잘 아시듯이 연말정산할 때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특히나 요즘 같은 연말에 연금보험에 대해 많은 문의가 옵니다.

    의료실손보험처럼 대한민국 국민 중 과반수가 가입한 보험까지야 아니긴 하지만 노후 대비 및 저축의 의미도 있고 매년 세액공제도 되니 메리트는 분명 큰 보험임은 틀림없습니다.

    보장률은 약관에 기재되어 있는 그대로 보장이 되니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혹여 보험사가 망하더라도 5000만원 까지는 나라에서 보장을 해줍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일 가득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다혜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개개인마다 당연히 차이가 있는게 맞아요

    연말정산에 속히 돈을 내는 사람들은 그걸 방지하려고 덜 내기 위해 가입을 하고 안내는 사람은 와닿지가 않을 수있으니까요

    그래서 세금부분을 생각하는것보다는 본인에게 필요한 것인지 아닌지를 먼저 확인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지원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저축성보험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목돈마련이나 노후생활자금을 대비해주는

    보험상품으로 납입한 보험료보다

    만기시 지급되는 금액이 더 큰 보험상품 입니다.

    저축성보험은 보통 금리가 적금 이자보다 1%이상 ​높고,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가 적용됩니다.

    게다가 10년동안 유지하면

    15.4% 이자소득세가 면제되는

    비과세 혜택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지요.


  • 낭만입니다 ^-^

    연금저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내 돈 주고 내가 연금저축을 하는데 왜 국가에서 세금을 깎아준다고 하는걸까요?

    계산기 두들겨 봤더니 국민연금으로 부족할 것 같아요.

    그러니 미리서 너네도 돈좀 같이 모으자고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세금도 깎아주니까 같이 하자구요.

    그러면 연금저축을 해서 10년이 지났습니다. 10년간 받은 세액공제 혜택이 600만원이에요.

    그런데 양구고라니님이 이제 중도해지해서 일시금으로 받겠대요.

    그럼 정부는 뭐라고 할까요?

    야 너 왜 그거 일시금으로 받아..? 우리 연금으로 받기로 약속했잖아... 왜..?ㅜ

    하고 세액공제 혜택분을 고스라니 다시 가져갑니다.

    그러니 먼저 연금저축을 하려면

    [중도해지해서 일시금 수령을 하면 안 된다]

    [반드시 연금으로만 수령해야한다]

    이 두 가지를 기억해주세요.

    그러면 아 알겠어요 연금저축 나 세액공제도 필요하고 연금도 필요하니까 할게요

    하면 아무거나 하면 되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연금저축펀드를 하셔야합니다.

    연금저축에는 신탁 / 펀드 / 보험이 있었는데 현재 신탁은 사라져 펀드와 보험만 남아있어요.

    보험은 수수료가 8 ~ 11%입니다

    펀드는 1%내외에요.

    당연히 펀드로 하는 게 맞겠죠?

    펀드계좌 여는 방법이나 펀드 선택 관련 문의는 연락 주시면 바로 도와드릴게요 ^-^

    연금보험은 연금저축보험과는 또 다른 거에요. 세액공제되는 상품은 연금저축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심은술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55세에 연금으로 얼마 받는 것을 원하시나요?

    만약,

    55세부터 20년간 200만원씩 매월 받기를 원하신다면

    30세라고 가정하고 ,

    총 연금수령액은 20년 X 200만원 = 4억8천만원

    30세부터 54세까지 4억8천만원을 모으려면

    이자율 고려하지 않고 원금으로만

    얼마씩 모아야 할까요?

    24년이므로 1년에 2천만원씩 모으면 될겁니다.

    즉, 월 167만원씩 54세까지 모으면 됩니다.

    이것이 가능할까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기 + 복리로 투자하면서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 연금준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장기로 묶이는 게 싫다?

    100세 인생에서 10년은 10% 밖에 안되며,

    10년 납입하고 10년 이상 거치해둬봤자 20% 안팎일 뿐입니다.

    이 시간을 극복하고 편하게 기다린 자만이 풍요롭지는 않더라도 평안한 은퇴/노후생활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연금보험 등의 연금상품을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가입하는 것은 무조건 옳은 일은 아닙니다.

    연금상품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세액공제를 받는 세제적격상품과

    받지 않는 세제비적격상품이 있습니다.

    둘 중 나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세제적격연금은 세액공제를 받는대신 연금수령시 과세하고

    세제비적격연금은 세액공제를 안받는대신 연금수령시 비과세가 됩니다.

    세액공제를 받을 때에도 내 급여수준이 낮다면 그리 큰 혜택도 없으며, 너무 높아도 혜택이 적습니다.

    모든 금융상품은 혜택을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입니다.

    혜택에 너무 속지 마십시오~

    국가와 금융기관이 자금을 융통하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는 생각입니다.

    나에게 돌아오는 실질적 이득과 혜택을 분석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연금상품중에는 최저보증이율을 제공하거나, 최저연금보장을 해주는 것들도 있습니다.

    금융상품 선택시 남들이 좋다고 하니까 가입하는 게 아닌, 나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세금 혜택때문에 연금 보험을 가입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연금 보험의 경우 기본적으로 기간이 장기이기 때문에 본인의 자금 사정을 고려해서 가입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수익율 등 지표도 참고해야 하니 연금 보험 가입시에는 여러 자료를 검토한 후 신중하게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민성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연말정산을 위해 가입하는 연금이면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하셔야 합니다.

    다른 연금상품은 소득공제혜택이 없구요.

    "저축을 하는데도 소득공제가 된다" 라는 장점 때문에 가입하는 상품이며,

    노후를 목적으로 준비합니다.

    자동차구매나 자녀학비등을 위한 목돈마련 목적으로는

    맞지 않는 상품이에요.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