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즘현상이란 정확하게 어떤현상을 말하는것인가요?
뉴스를 보다보니까 캐즘현상이라는 용어가 나오던데요, 그런데 캐즘현상이란 정확하게 어떤현상을 말하는것인가요? 그리고 캐즘의 의미는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첨단기술과 같은 상품이 개발되는 경우 초기시장과 주류시장으로 진입하기 전까지 이 사이에는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되는 시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말해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캐즘(Chasm)이란 '심연, 갈라진 틈'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입니다. '캐즘 현상'은 신제품이나 신기술이 대중 시장에 확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매출 부진 또는 정체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초기에는 혁신적 제품에 대한 선구매자들의 수요가 있어 매출이 증가합니다.
2) 하지만 일정 시점 이후에는 초기 수용자층을 넘어 대다수의 대중 고객을 확보하지 못해 매출이 주춤하게 됩니다.
3) 이때 기업들은 '캐즘'이라는 갈라진 틈을 넘어야 대중 시장 진입이 가능해집니다.
4) 기술 발전, 가격 하락, 마케팅 등으로 대중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면 다시 매출이 증가하며 대중화에 성공합니다.
이런 캐즘 현상은 혁신 제품이 조기 수용자에서 본격적인 대중 시장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기업들은 이 시기를 잘 극복해야 제품의 대중화와 본격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사건이 다른 사건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이는 초기에 작은 변화가 후속적으로 큰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캐즘현상은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일종의 "연쇄 반응"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시장에서 주식 가격이 급락하는 경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불안해지고 자신의 주식을 팔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더 많은 투자자들이 팔고자 하는 압력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주가가 더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초기의 작은 변화가 시장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키는 캐즘현상의 한 예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캐즘현상은 새롭게 개발된 제품이 시장 진입 초기에 대중들에게 받아들이기 전 일시적으로 수요가 침체하거나 후퇴하는 현상을 뜻한다고 합니다. 원래 캐즘은 지질학에서 쓰이던 용어로써 지각변동 등에 의해 지층에 균열이 생겨 서로 단절된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캐즘이라는 것이 첨단기술이나 어떤 상품이 개발되면 초기시장과 주류시장으로 진입하기까지의 사이에는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되거나 후퇴하는 단절현상을 거치게 된다는 것을 말하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