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유연한호랑나비176
유연한호랑나비17624.03.18

요즘 봄철이라 달래가 몸에좋다는 말이 자꾸 들립니다.

요즘 봄 철이라서 피로에 좋은 면역에 좋은 달래를 먹으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그래서 어제 달래장을 해서 맛있게 먹었는데요.달래는 씨가 없을것 같은데 .어떻게 번식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래는 씨가 없는 식물로, 대부분의 경우 씨를 통한 번식이 아닌 뿌리 또는 줄기를 통해 번식합니다. 주로 뿌리를 통해 번식하는데, 뿌리의 일부가 자라나거나 새로운 싹이 돋아나면 새로운 달래 식물이 형성됩니다. 또한 달래는 줄기를 통해 번식하기도 하는데, 줄기의 일부가 뿌리를 내리거나 새로운 싹을 튼다면 새로운 식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래는 씨, 주아, 자구, 모구를 이용하여 번식할 수 있다. 씨는 발아력이낮아서 종구 생산용으로 이용하며 채종은 7월 파종은 7월 하순~8월 중순이적기이다. 채종은 주아가 혼생한 것보다 씨만 결실한 것이 발아가 고르고 빠르다. 실생묘는 1년간 비배한 후 6월 말경에 뿌리를 캐내어 종구로 이용한다. 주아는 종자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달래꽃이 핀후 변형된 것으로 1년간 재배한 후 종구로 이용한다.

    모구 주위에 모구와 같은 2∼6개의 작은 비늘덩이가 생기는데 이것을 자구라한다. 종구의 종류별 생산력은 모구의 수량지수를 100% (840kg/10a)로볼 때 자구는 43%, 주아는 3%로, 모구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자구와주아는 1년 정도 재배한 후 모구를 생산하여 이용한다 채종시기는 6월 중순이후가 좋으나 너무 늦으면 주아가 탈립되어 채종작업이 곤란하므로 주아의 숙기를 보아 가변서 적당한 시기에 채종한다. 종구는 캐내어 1∼2일 정도 햇볕에 말린 후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겹치지 않게 펴서 저장한다.

    출처 : 아시아종묘 - 달래의 성상 및 용도, 재배기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래는 씨앗뿐 아니라 주아와 종구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번식합니다.

    주아는 꽃대가 있는 씨앗으로, 7월에 꽃이 피고 8월에 익습니다. 주아를 심으면 1~2년 후에 종구가 됩니다.

    종구는 땅속에서 자라는 덩이뿌리로, 3~4월에 나누어 심으면 새로운 달래를 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래는 씨앗 없이도 주아와 종구를 통해 번식하며, 이는 봄과 가을에 이루어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래는 씨, 주아, 자구, 모구를 이용하여 번식할 수 있습니다. 씨는 발아력이낮아서 종구 생산용으로 이용하며 채종은 7월 파종은 7월 하순~8월 중순이적기입니다. 채종은 주아가 혼생한 것보다 씨만 결실한 것이 발아가 고르고 빠르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래도 씨앗이 있습니다.

    이를 심어서 달래를 재배 하는 것입니다

    과일씨와 다를 뿐이지 종자라고해서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래는 매운 맛과 향이 특징인 봄나물로, 지금이 제철입니다. 달래의 번식 방법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주아 (주묘): 달래 꽃이 핀 후 변형되어 주아가 됩니다. 주아는 종자와는 구별되며, 달래의 번식을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자구 (자묘): 모구 주위에 모구와 비슷한 작은 비늘덩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 역시 달래의 번식에 활용됩니다.

    모구 (모종): 이른 봄에 달래 뿌리를 나누고, 6~8월에 결실된 종자를 흙에 바로 뿌립니다. 달래 뿌리에서 계속 번식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뿌리 옆에 나온 알뿌리도 쪼개어 심을 수 있습니다. 또한, 꽃대에 달린 주아를 따 모아 원하는 장소에 파종하여 새로운 달래밭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래는 뿌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번식하며, 먹을 만큼 빼놓고 심으면 계속해서 먹을 수 있습니다. 달래를 잘 관리하면 먹는 재미가 쏠쏠하답니다. 향긋한 달래 향기가 코를 찌르며, 물을 주고 나니 더욱 싱싱한 느낌입니다. 달래를 심은 마음이 든든해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래는 주로 줄기를 통해 번식하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달래의 줄기는 뿌리 부분이 지하에 있고 줄기가 지상으로 나와 잎이 자라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줄기는 땅 속에서 수평으로 번식하는데, 뿌리 부분에서 새로운 줄기가 발생하여 새로운 식물을 형성합니다. 이렇게 번식된 새로운 식물은 땅 위로 나와 잎을 펼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