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측정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근들어 미세먼지가 너무 심해지는것 같은데요
각 나라, 지역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좋고 나쁨을 숫자로 나타내는데요.
공기 중에 미세먼지가 얼마나 있는지 어떤 방법으로 측정하는 건가요?
미세먼지 측정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세먼지의 측정은 광산란 방식과 베타선 방식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빛을 미세먼지 입자에 비추면 회절, 굴절,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해서 그 정도를 감지해서 어느 정도 크기의 입자가 어느 정도 밀도로 존재하는 지를 계산한다고 합니다. 베타선 방식은 베타선이 어떠한 물질을 통과할 때 그 물질의 질량이 클 수록 많이 흡수되는 원리를 이용하며, 미세먼지를 채취한 여과지에 흡수된 베타선 양을 측정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미세먼지는 주로 베타선(β-ray) 흡수법, 광산란법, 중량법 총 3가지 방법으로 측정함
□ 환경부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정도검사 등에 관한 고시”에 베타선 흡수법만 인정하고 있음
o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에는 베타선 흡수법과 중량법이 존재하지만, 중량법은 분석 과정에서의 오차율이 높아 현재 국가 대기 오염 측정망에서는 베타선 흡수방식의 장비를 도입하고 있음
베타선 흡수법광산란법중량법
측정원리- 채취된 먼지를 통과할 때 흡수되는 베타선의 세기를 측정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의 질량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채취된 미세입자에 레이저 광원을 투과시켜 발생하는 산란광의 정도로 미세먼지 농도를 환산하는 방식- 24시간 동안 시료를 채취하여 여과지(필터)에 모인 물질 중 그 크기가 2.5μm보다 작은 미세먼지의 질량을 측정
장점- 자동 측정이 용이함
대국민 홍보를 위한 실시간 데이터 제공 가능- 실시간 측정이 용이
- 휴대가 용이
- 동시에 여러 입자 크기별 측정가능- 정확도가 높음
미국, EU에서 채택
단점- PM2.5와 PM10 동시 측정 불가능- 산란광의 정도를 농도로 환산하는 과정에서의 오차- 실시간 측정이 어려움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은 광 산란 방식, 베타선 흡수 방식 등이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빛을 쏘면 미세먼지의 입자에 의해 빛이 산란하게 됩니다.
빛이 얼마나 산란하냐에 따라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방식이 있지만 가정용 측정 센서의 경우 일정 불빛등을 쏘아서 그 면적안에 들어와 있는 미세먼지의 입자등을 캐취하여 도출합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고영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일정시간 대기중의 미세먼지를 여과지위에 포집합니다.
그러고 베타선을 쏘면 그 베타선이 미세먼지에 의해 일정부분 흡수 소멸되어 빠져나오는데 그 차이를 가지고 미세먼지를 측정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