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의료 보험 이미지
의료 보험보험
의료 보험 이미지
의료 보험보험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07.28

고객이 고지 의무를 위반한 경우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가요?

병원 기록도 없고 진료를 받은 적도 없고

주관적으로 본인이 아프다는 걸 알면서 보험에 가입한 경우,

나중에 보험료 청구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신한금융플러스 GA에 근무하는

    19년차 보험인 성영진지점장 입니다.

    신한금융플러스는 총 31개 보험회사를 취급하는

    자본금 900억원의 신한금융계열의 자회사형GA 입니다.

    복사 후 붙여넣기 아닌 직접 수기로 답변을 작성합니다.

    고객이 아프다는 걸 알지만,

    병원에 가지도 않았고, 진료를 받은 적이 없다면,

    이건 고지위반이 아닙니다.

    그런데 .. 이런 경우는 이론적으로만 존해하지 별로 많지 않습니다.

    정말 많이 아픈데 ... 보험가입 때문에 병원을 안 가는 사람은 제가 못 봤거든요.

    20년동안 ㅎㅎㅎ

    추가 문의가 있다면, 상단 상담예약 클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고지의무는 병원 진료기록으로 하는데 주관적인 질병 예측으로 고지하지 않습니다.

    주관적인 질병으로 추측되지만 고지의무가 없어 보상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 기록도 없고 진료를 받은 적도 없고 주관적으로 본인이 아프다는 걸 알면서 보험에 가입한 경우,

    나중에 보험료 청구가 가능한지 여부는 고지의무를 얼마나 잘 지켰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고지의무를 위반하지 않았다면, 보험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알릴의무고지사항에는 병원력을 고지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찬 손해사정사입니다.

    병원 기록도 없고 진료를 받은 적도 없고 아무런 기록이 없다면 보험 회사가 고지의무 위반을 근거로 보험 계약을 해지하거나

    보험금 지급을 거절할 수 없습니다.

    주관적으로 환자가 아프다는 것은 고지의무에 해당하지도 않으며 전문의의 소견이나 진단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료 진단 투약과 같은 병원기록이 없다면 청구가 가능합니다

    자주 혈변을 본다던데 배변이 이상하면 대장암을 의심할 수 있고

    내 나이가 50-60이라면 그럴수도 있겠구나 싶겟죠

    그럴때 가입 후에 진료를 받는 겁니다

    이에 가입후 1년이나 2년을 기준으로 전후 보장금액의 50프로 100프로 나누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유승 보험전문가입니다.

    불가능합니다. 고지의무를 지켜주셔야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고지의무는 질문표상 알릴의무를 준하여 판단하는데요,

    주관적인 판단만으로 아프다는 것을 인지하였다는 것만으로 고지의무 위반이라고 하기엔 어렵다는 의견드립니다.

    즉 고지의무위반x 의견


  • 안녕하세요. 최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 기록도 없고 진료를 받은 적도 없고 주관적으로 본인이 아프다는 걸 알면서 보험에 가입한 경우, 나중에 보험료 청구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보험은 가입자가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이미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경우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건강검진을 받고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질병이나 장애가 있었지만 보험사에 알리지 않았다면 보험사로부터 보험금을 청구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보험사는 보험 가입자가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보험 가입 서류를 제출하도록 요구합니다. 따라서, 보험 가입 서류에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사실을 거짓으로 기재하면 보험사로부터 보험금을 청구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건강검진을 받고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질병이나 장애가 있었다면 보험사에 알리고 보험 가입 서류에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사실을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기록 및 진료기록이 없다면 가입햇을때 면책기간만

    지난다면 보장이 될 것입니다.

    보장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