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8

신민회가 생겨나게 된 과정과 한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일제시대가 될 무렵에 신민회라는 단체가 생겨나게 된 이유와 그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신민회가 한 역할,활동은 어떤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07년 안창호는 신민회 결성을 위해 여러 인물과 접촉했고 서울에서 양기탁, 유동열 등과 접촉하고 1907년 4월 서북지방을 순회강연하며 이승훈 등과 만났는데 안창호는 귀국 이전에 이미 미국에서 신민회 조직을 위한 규안서 초안을 작성합니다.

    안창호가 신민회를 비밀결사로 조직하려 한 이유는 이미 국권이 기울었기 때문에 일본이 허용하는 테두리 안에서 원활한 활동이 어려웠다고 판단했고, 안창호가 공화정을 지향했기 때문으로 당시 여전히 황제가 존재했기 때문에 대한제국의 황제권을 부인하고 공화정을 지향하는 단체를 공공연히 만들기에는 안창호도 부담스러웠던 것으로 추측합니다. 따라서 안창호는 신민회 조직과 활동을 비밀리에 전개하는 대신 대성학교와 청년학우회 설립을 통해 합법적 구국운동을 계획하고있었습니다.

    신민회는 교육, 출판 활동을 통해 독립운동의 역량을 축적하려했으며 교육분야에서 대성학교와 오산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관여했습니다.

    대성학교는 그 건학목표를 민족운동을 위한 간부를 양성하는데 두었던 만큼 지식습득 뿐 아니라 애국심과 상무 정신을 기르려했으며 신민회 간부 이동휘는 강화읍에 보창학교를 세워 민족교육과 군사교육을 실시했고 조선광뭄ㄴ회는 1910년 10월 최남선이 한국의 고서를 수집하고 간행할 목적으로 세웠으며 태극서관을 경영, 대한매일신보를 기관지로 활용, 잡지 소년 간행, 대한일보와 소년을 통해 한국의 역사에서 활약한 전쟁 영웅 또는 외국의 건국영웅과 독립운동의 역사를 소개해 애국심을 고취했습니다.

    청년학우회 조직을 통해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했으며, 1910년 3월 회의를 통해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고자 그 핵심으로 무관학교를 설립, 국내에서 애국계몽운동을 유지하기로 결정, 1910년 4월 신민회 간부들이 청도회의를 열어 독립군 기지 건설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 협의, 1910년 12월 양기탁의 집에서 간부회의를 열어 서간도에 독립군기지를 건설, 한인을 집단으로 서간도에 이주시킬 계획을 수립, 그 결과 1911년 만주 유하현 삼원보에 신한민촌과 사관양성기관인 신흥강습소를 세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첫째, 국민들에게 국권회복을 위한 신교육의 절실한 필요를 계몽, 학교를 세우고 신교육을 실시하도록 고취한다. 둘째 민중이 각지에 세운 학교의 교육 방침을 국권 회복에 적합하도록 지도한다. 셋째 신민회 자체가 우수한 학교를 세워 국권 회복을 위한 인재를 양성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