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틈만 나면 물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놀잇감 분쟁으로 인해 친구와의 갈등 상황이 있을 때 뿐만 아니라 갈등상황이 없을 때도 옆에 가만히 있던 친구를 무는 모습도 보이는데 왜 이런 행동이 보이는 걸까요? 이럴 때는 어떻게 지도를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입안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이가 나오려고 할 때 보통 무는 습관이 있습니다.
이가 나오려고 한다면, 치발기의 도움을 받거나, 또는 찬 거즈로 잇몸을 자주 닦아 주셔야 합니다.
이의 원인이 아니라면, 아이는 무는 행동을 놀이로 생각할 수 있으니, 단호하게 안된다고 알려주셔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그렇게 공격적인 성향을 띌때에는
무조건 안된다는 반응보다는
왜 그러한 행동을 하는지 감정적으로
소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물려는 행동을 한다고 하신다면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훈육하셔서 그러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신의 마음대로 안됬을 때, 표현보다는
이런 공격적인 성향을 보일 수 있는 것입니다.
아이가 친구를 물거나 하였을 때 놀이 등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교정해주시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친구를 무는 행동을 할 때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무는 행동은 잘못된 행동임을 지속적으로 인지시켜주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는 행동을 반복할 때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정 행동에 따른 반사행동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무는 행동을 할 때
어떤 상황인지를 파악하시고 그 부분을 해결해 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가까운 전문 상담기관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전문가는 행동을 분석한 후
원인을 가장 빨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는것은 표현하지못하여 나타날수있습니다
아이가 말로써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표현할수있도록 알려주고 연습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돌 이후의 아이들은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사람을 뭅니다.
엄마에게 화가 나거나 친구의 물건을 뺏고 싶을 때 종종 무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는 무는 것이 상대를 물리치는 가장 좋은 무기이기 때문인데요.
3~4세의 아이가 사람을 잘 문다면 부모의 애정과 사랑이 충분치 않아서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무는 것으로 어른의 관심을 끌고 사랑을 받으려고 하는 것. 또 의사소통이 잘 안되어서 무는 경우도 있어요.
무언가 화가 나는 일이 있거나 요구사항이 있는데 그것을 표현하지 못하고 무는 것으로 화를 표출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물 때는 적절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놀랠 수 있으니 큰 소리는 내는 것이 아니며,
OO아, 이렇게 물면 아프니 엄마를 무는 행동은 나쁜 아이란다.
라는 차분하고 단호한 말투로 아이를 훈육시켜 주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