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굳센뜸부기292
굳센뜸부기29222.04.16

조현병에 걸리면 뇌에서 어떤 변화가 생기나요?

나이
성별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조현병에 의해 일어나는 뇌의 변화를 도파민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것 이외에도 뇌에 어떠한 이상이 생겨 때문에 정상적인 사고가 불가능 해 지는지, 정서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등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기분탓일지도 모르지만 의사분들 답변 중에 서로 충돌하는 내용이 있는 것 같아서 약간 헷갈리기도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조현병 환자의 뇌 변화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뇌에서는 사고, 감정, 행동을 조절하는 수많은 신경전달 물질이 분비되어 세포 간에 정보를 전달합니다. 조현병(정신분열병) 환자는 뇌의 특정 부위에서 도파민이라는 물질의 신경전달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도파민이 활성화되면, 망상, 환청, 혼란된 사고가 나타납니다.

    최근에는 도파민 외에 세로토닌 등 여러 신경 생화학적 변화가 상호 작용을 일으켜 복합적으로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된다고 추정합니다. 생물학적 소인의 상당 부분은 유전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까지 조현병의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으며 유전적, 이전 외상이나 감염, 약물,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경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근수 의사입니다.

    현재 명확한 원인이 발혀져 있지는 않으나, 도파민계 활성의 증가와 관련된 신경생화학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 그리고 여러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주세요. 답변 달아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뇌의 생긴 모양(구조)가 특별히 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뇌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가 과도하거나 기능에 문제가 생겨서 나타나는 질환이지요. 즉, 도파민이나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의 변화로 인해서 망상이나 환청, 이상한 생각 등이 유발되는 것입니다. 정상적인 사고를 하기는 다소 어렵습니다. 정서적으로도 우울증 같은 위축 증상이 나타나거나 슬픈 상황에서 웃는 등의 이상한 감정 반응이 나타날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조현병은 아직까지 기전이 명확히 밝혀져있지 않고 여러가지 가설들만 있기 때문에 의사들마다 설명이 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뇌에 있는 도파민 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너무 많이 분비되어 조현병이 발생한다는 가설이 가장 유력하며, 뇌에서 왜 이러한 물질들의 이상이 일어나는지는 아직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 외에도 전두엽, 변연계, 기저핵 등의 뇌 부위에서 다양한 이상 소견이 관찰되어, 이러한 뇌 부위들의 이상이 조현병의 원인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조현병에 걸린다고해서 뇌의 구조적인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뇌의 신경전달물질에 이상이 생겨서 발병하는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