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가족간 감염을 막기 위한 최적의 방법이 있을까요 ?
아내와 성인 두명이서 살때는 약간의 감기기운이 있다거나 해도 크게 개의치 않았는데,
어린 딸이 있다보니 약간 감기만 걸려도 혹시 감염을 시키지 않을지 걱정이 많이 됩니다.
환기를 많이시키고, 마스크를 쓰거나 최대한 접근을 안하고 손을 자주 씻는 등 여러가지 조치를 취하고는 있는데, 혹시 추가적으로 조언해주실 부분이 없을지 고견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일반 감기까지 막을 수 있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습니다. 물론 손을 자주 씻고, 기침을 할 때는 옷으로 가리는 등의 조치는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아이와 접촉을 막기는 어렵지요.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옮기는 경우보다는 반대의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구요.
마스크를 쓰고 집에서 지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되구요.
아이의 감기를 막는 최선은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어린이집에서 서로 옮고 옮기는 것이 태반입니다.
집에서라도 면역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게 예방 접종 잘하고 손 잘 씻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만약 감염자로 확진되었다면 안전한 자가격리를 위해서는 확진자는 화장실이 있는 독립된 방에 물리적인 문 등을 통해 완전히 격리되어야 합니다. 또한 음식물 등도 비대면으로 전달하고 세탁물이나 다른 침구 관련 물품도 따로 수거 후 단독 세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 앞에는 손 세정제를 비치하고 수시로 사용하시되 확진자가 비말을 남길만한 물체가 있다면 전후로 세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확진자가 피치못해 문 밖을 나와야 한다면 마스크를 꼭 착용하고 동선이 겹치는 곳에는 손세정제 및 향균티슈 등으로 충분히 멸균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에 준해 행동하시는 것이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현재도 감염전파를 막기위한 최대의 노력을 하시고 계신것 같습니다.
신체적 접촉을 최대한 줄이시면서 마스크착용 및 손씻기를 철저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공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작성자분이 적어주신 생활 수칙들이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코로나에 확진이 되었다면 가족간 감염을 막기 위해서 화장실이 딸린 방에서 격리를 하고
음식등은 장갑을 끼고 문 앞에 두는 등 격리가 최선입니다.
다만 예방적인 정도라면 환기와 손씻기등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딱히 추가적으로 해드릴만한 조언이 없습니다. 환기를 자주 하고, 마스크를 착용해주고, 손을 자주 씻어주고, 증상이 있는 분과 최대한 접촉하지 않는 것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예방법들이 맞습니다. 훌륭하게 잘 하고 계신 것 같으며, 그럼에도 전염이 된다면 그건 정말 불가항력적인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