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침체된다고 다들그러는데 금융시장은 왜 이리활발하나요?
다들 힘들다 힘들다 하는데
빚도많아지고 살기힘들다
물가가 너무 비싸게 올라서 지칠정도인데
금융시장은 너무 활발하고 인기가많은것같네요
이런건 무슨현상인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단는 양극화가 심해서 입니다. 돈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금융 거래를 활발히 합니다. 일반적으로 금융 거래 비중의 대부분은 돈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뤄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경기가 침체되고 있는 상황은 맞으며 이에 대한 통계로 본다면 부동산 연체가 증가하고 있고 소비지표가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 단적인 예라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최근 금융시장 특히나 주식시장이 다시금 상승하는 것은 금리인상이 끝났다고 판단한 이들이 다시금 '투기'성 자금으로 주식을 하다 보니 자금이 몰려서 그런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금리가 높고, 세계 경기침체로 기업들도 허덕이고 있습니다. 원가절감 및 소비절약이 기업과 가계에서 행해지고 있고, 대출도 역대급이라 정부도 가계부채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시장이 활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어서 시한폭탄이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
특히나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규모가 큰 PF대출이 이슈가 되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뇌관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시장도 현재 호황이 아닌 불황을 맞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시장은 미래의 기대를 반영한 시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금리가 고점을 찍고 앞으로 하락이 예상되어 기업들의 매출 증가가 예상되는 이상, 미래 이익을 반영한 주기 등은 상승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람들 인식자체가 은행이자로는 살기 힘들고 돈이 안된다고 생각하는거 같아여 그래서 부동산 주식 펀드 코인 등 재테크 수단을 많이 활용하니 그런거 같아여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시장이라 함은 주식 시장을 의미하시는 듯합니다. 실물 경제와 지표 경제는 시차가 있을 수 있고 특히 주식 시장은 대표적인 선행 지표로 6개월에서 1년 가까이 선행합니다. 근래 주식 가격 상승은 매년 하반기 이후 긴축 중단 이후 금리 인하를 예상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실물경기는 좋지 았지만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향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의하여
이에 따라서 주식시장이 상승을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