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보이스
보이스23.08.12

성수기 기간의 기준은 어떻게 결정되고, 성수기때 바가지 요금은 왜 생기는 걸까요???

성수기 기간의 기준은 어떻게 결정되고, 성수기때 바가지 요금은 왜 생기는 걸까요??? 숙박만 해도 평소엔 하루에 5만워 받던 숙소가 성수기때는 3배가 올라 15만원을 받는 곳이 있던데 이런곳은 법적으로 처벌이 안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성수기와 비성수기에 대한 명확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성수기의 뜻은 사람들이 물건이나 서비스를 많이 찾게 되는 시기를 말하는 것이었으며 반댓말로 비수기로 표현되고 있었다.

    단순 사람들이 해가 쨍쨍하고 놀러가기 좋은 때를 성수기로 두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성수기는 숙박업소나 기업이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요금을 인상하는 것이었다.

    인상의 기준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주변 환경에 맞춰 인상을 허용하였으며 여름 휴가철에 느끼는 사람들의 심리로 인해 이러한 시기가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가격의 결정은 공급과 수요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통 성수기에는은 수요가 공급에 비하여 훨씬 크므로, 가격이 평소보다 올라도 해당 가격에 소비하려는 수요자가 많을 것입니다. 이에 따라 가격이 오르는 것이지요

    법적으로 어떤 상품의 가격은 ~여야 한다~ 라고 정해진 것은 거의 없으므로, 당연히 법적인 처벌 대상도 아닙니다.

    다만, 시장의 수요 변화 등 외부적인 요인 없이, 공급자의 담합 등으로 인위적으로 가격을 바꾸는 것은 불공정거래향위로서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는 있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성수기와 같은 경우 수요가 많아지고

    공급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가격이 상당히

    오르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름이나 겨울 등 계절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름이나 겨울 방학 기간도 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규모 축제나 행사가 진행되는 기간은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해외 여행에서는 크리스마스,추석 등의 휴일이 성수기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직장이나 학교에서는 여름, 겨울 등의 휴가철이 있습니다. 이 기간에는 대체로 여행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의 기간이 짧으므로 그 기간안에 수익을 내야하므로 바가지요금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