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올해는 우리도 안심못하나요?
최근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의첫 인간감염사례가 올해 발생했다고 하더라구요 모기매개 바이러스라는데 코로나처럼 대유행할수도 있는거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등
전엽병과 같은 경우에는 현재로써는
글로벌적으로 퍼지는 것이 다소 확률은 적어보이나
어떻게 될 지는 모르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현재 국내 발생 사례는 없습니다. 다만 기후변화로 매개 모기 서식지가 확산될 수 있어 방역 모니터링은 필요합니다. 해외 유입 가능성이 있으나, 코로나 19처럼 대규모 확산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는 호흡기로 전염이 되다 보니 현재 모기로 인한 전염보다는 더욱 강력합니다
즉 모기로 인한 전염병은 코로나 처럼 전체적인 패닉이 오진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이 병이 모기 외에 사람과 사람간 전염이 된다고 하면 패닉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게 코로나19처럼 대규모로 유행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매우 낮습니다. 하지만 안심해서는 안 되며, 주의를 기울일 필요는 있습니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의 국내 상황은 해외 유입 사례는 있었지만, 국내 감염 사례는 없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에 해외에서 감염되어 국내로 유입된 사례가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감염된 환자는 확인된 바 없습니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모기는 국내에도 서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가 매개되는 조류에서도 과거에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즉, 바이러스가 유입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모기가 옮기는 감염병이라 코로나처럼 사람 간 전파로 퍼지진 않습니다. 그래서 대유행 가능성은 낮다고 봅니다. 다만 여름철에 모기 활동이 많아지면 국지적으로 확산할 수 있어 방심은 곤란합니다. 우리나라도 과거에 해외 유입 사례가 있었고 기후가 점점 더워지면서 번식 환경이 좋아지고 있는 점이 우려됩니다. 아직 국내 토착화된 건 아니지만 방역망이 느슨해지면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대규모 팬데믹은 아니더라도 여름철 모기 예방과 방역은 올해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에서도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가 발견된 경우는 있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고 그게 대유행된 적은 없었기에
안심못할 정도는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다만 이것이 한국에서도 전파가 될지, 아직은 동아시아나 주변국가에서 이러한 것이 발생한 사례가 없기에 아직 신경을 스지 않는 것 같습니다 만약 이러한 것이 주변국가에 퍼지게 된다면 많은 뉴스를 탈것 같습니다. 제2의 코로나 바이러스 숙주를 타고 한국에 왔나 등의 뉴스와 기사가 나올 것으로 보이기에 우리가 할 대처는 없을 것이라고 보입니다. 일단 주변국가에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