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라는 건 도대체 언제 정의가 된 건가요?
흔히 아는 시. 현대시도 있고 고전시가도 있고 이 세상에는 여러 종류의 시들이 있죠. 근데 생각을 해보면 도대체 언제, 누가 그런 것들을 “시”라고 부르기로 정의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시의 기원은 구전문화로 인해 문서화되기 전에 발생했기 때문에 정확한 출처나 날짜를 찾기 어렵지만 고대 문화에서는 구전으로 시를 전해오며, 시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습니다.각 지역에서는 고대의 시들이 발견되어 왔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중국, 이집트, 인도, 그리스, 로마 등 여러 고대 문명에서 시가 발전하였고 수메르 문명은 약 3000년 전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고 전해 지니 인류의 기원과 시의 역사는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시가의 기원은 원시 고대적 공동체 사회의 제천 의식 때 사용되던 기도사나 송축사 같은 것에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대 신이나 영웅에 대한 서사를 칭송하고 기록하는데서 기원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천의식이나 칭송 또는 찬송은 보통 음악과 무용 등과 함께 하면서 그 시가가 음악적인 요소를 띠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누가 그것을 처음 시라고 불렀는가는 알 수 없습니다. 시가가 발전해오면서 그 시대와 형태에 맞는 이름을 덧붙여 가요, 시조, 서사시, 서정시, 자유시, 정형시, 현대시 등등의 분류가 생겨났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전문가입니다.
시가 언제부터 '시'라고 불리게 되었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습니다. 인류가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리듬감 있고 감정을 담아 표현하는 행위는 자연스럽게 존재했을 것입니다. 다만, 이러한 표현 방식을 '시'라는 명칭으로 특정하고 문학의 한 갈래로 자리매김한 것은 역사 속에서 점차적으로 이루어진 과정입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설형문자로 기록된 서사시들이 가장 오래된 시의 예시로 거론됩니다. 하지만 이 또한 발견된 기록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라는 의미이며, 그 이전에도 시가 존재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