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에서 띄어쓰기가 처음 사용되고 정착한 것은 언제부터인가요?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은 띄어쓰기 규정이 있어서 단어의 사이를 띄어쓰는데요. 예전에는 붙여 썼습니다. 그러면 한글에서 띄어쓰기가 처음 사용되고 정착한 것은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이 창제된지는 600년이 넘었지만 띄어쓰기가 시작된지는 140여년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한글 띄어쓰기의 규칙을 만든 사람은 놀랍게도 외국인이었습니다. 미국인인 호머 헐버트라는 박사는 우리나라의 한글을 접하고 매우 쉽게 배울 수 있음에 반했다고 하는데요. 더 쉽고, 헷갈리지 않게 한글을 알릴 목적으로 띄어쓰기 규칙까지 고안했습니다. 그리고 규칙을 더 많이 알리기 위해 1891년 최초의 한글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만들었고, 서양의 각종 문물도 한글 띄어쓰기를 활용해 소개했습니다. 이러한 한글 띄어쓰기 규칙은 1896년 창간된 ‘독립신문’에 적용되기도 했고 1993년 드디어 조선어학회가 띄어쓰기를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반영하였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본격적인 우리말 띄어쓰기의 시작은 1896년 창간된 독립신문부터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 때도 아직 규범화된 띄어쓰기의 체계가 정리된 것은 아니었고, 최초로 띄어쓰기가 규범화된 것은 그보다 뒤인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이 만들어진 때부터입니다. 그 후 1949년 '한글 띄어쓰기', 1964년'교정편람', '1969년 '한글 전용 편람'과 1988년 '한글맞춤법'을 거치면서 오늘날의 띄어쓰기 체계가 확립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어에서는 스코틀랜드의 선교사 존 로스가 사용하기 시작했고, 최초 한글판 신문을 발행한 독립신문에서 사용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어의 띄어쓰기는 19세기말의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Ross, J.의 『A Corean Primer』(1877)에서 예문으로 든 국문을 처음으로 띄어 썼다. 그 다음으로 박영효(朴泳孝)의 『사화기략(使和記略)』(1882)와『한성주보(漢城周報)(1886년)에서 불규칙적으로 구절이나 문장 단위로 띄어 썼다. 본격적으로 어구(語句)를 띄어 쓴 것은 『독립신문』(1896년)과 『imagefont일신문』(1898년)이다. 특기할 것은 1906년에 대한국민교육회에서 발간한 『초등소학(初等小學)』에서는 단어별로 띄어 쓰되 조사도 띄어 쓴 것이다. 그런데 1920년에 창간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서는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여 공표하기 이전까지는 띄어쓰기를 거의 하지 않았다. 1946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개정안에서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띄어쓰기 규정 가운데 제62항, 제63항, 제64항 등을 삭제하고, “둘 이상 단어로 이룬 고유명사는 그 각 단어를 띄어 쓴다.”고 규정하고, 그 예로 ‘이 순신’, ‘경기 도’, ‘삼국 사기’, ‘덕수 공립 국민 학교’ 등을 들고 있다.
1949년 정부가 띄어쓰기 세칙인「한글 띄어쓰기」를 제정하여 교과서에 적용하였다. 그 후 띄어쓰기 규정은 「교정 편람(1964.10.)」과 「한글 전용 편람(1969.4)」에서 확대 정비되어 「한글 맞춤법(1988)」이 제정되기까지 교과서 편찬과 대부분의 출판물에 적용되었다.
20세기에는 띄어쓰기 규정을 무시하고 글을 쓰는 이가 많았다. 그런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띄어쓰기 규정에 맞게 띄어 쓰는 이가 증가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