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비장한매257
비장한매25723.02.17

아이의 언어발달이 어느정도가 적당한 시기인가요?

8개월 중순아기인데 아직 엄마아빠를 못하고 있습니다.

엄마는 우는 소리중에 하나이고 아빠는 아예 근접한 단어도 못하고 있는데, 그냥 마냥 기다리고 있으면 언젠가 말이 트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8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처음으로 말하는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하군요.

    아이들은 보통 생후 10~11개월경에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하게 됩니다.

    생후 12개월경에는 두 단어 또는 세 단어의 의미 있는 말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게 된답니다.

    이 시기는 전 언어단계와 언어단계의 과도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진정한 언어가 시작되면서 영아의 ‘소리내기(쿠잉)’ 놀이는 의사소통의 의도를 가진 목적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영아기 언어발달 (우리아이 성장백과)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돌 전후에 '엄마 아빠'를 시작으로 말이 트이니까 너무 급하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가만히 기다리신다고 저절로 말이 트이는 것이 아니니 계속해서 언어자극을 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아이에게 말을 많이 걸어주시고 수다쟁이가 되세요. 집안 곳곳의 물건에 대해 알려주시고 산책할 때나 장볼 때도 주변 사물의 이름을 알려주시구요.

    다양한 의성어 의태어도 알려주시는데 동시집같은 것을 읽어주시면 도움됩니다.

    동시집뿐만 아니라 책을 읽어주시면 언어발달에 도움되는데요 특히 자기 전 알파파라는 뇌파가 나올 때 책을 읽어주시면 장기기억에도 오래남고 정서적으로도 안정될 수 있습니다.

    대화와 책읽기 두 가지로 아이의 언어발달을 이끌어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들의 발달상황은 아이 월령의 전으로 1년정도는 유효하게 보고 기다리면 됩니다. 돌정도면 죄소 한문장, 두돌이면 최소 두문장을 이어서 말할 줄 알아야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직 8개월이라 엄마,아빠라고 표현하기 어려운시기입니다. 최소 반년은 더 기다리시면 그나마 제대로 된 발음으로 할 수 있을것입니다. 두돌이 되어도 엄마,아빠라는 단어를 하지않는 아기들도 많습니다. 아이가 엄마,아빠라고 부르기도 전에 알아서 해주니 전혀 호칭을 부를필요가 없었던이유가 있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12개월정도가 지나면 어느정도 아빠나엄마를 찾을수있습니다.

    아직까지 크게 걱정하거나문제될것은 아니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돌이 지나야 한두음절의 말을 비슷하게 따라 합니다

    아이에게 언어를 자극 해 주려면 양육자가 많은 말을 들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 8개월이면 이른것 같아요.

    보통 빠른 아이들은 돌 전 후로 해서 엄마, 아빠는 할 수 있답니다.

    아이에게 말을 많이 시켜 주세요.

    아이 혼자 놀게 하기 보다는 부모가 항상 아이와 놀면서 상호작용을 열심히 시켜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책을 자주 읽어 주는 것도 언어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아이는 6개월 이전에 옹알이를 시작하고, 12개월이 지나면서는 자주

    들어왔던 쉬운 단어들을 사용하기 시작하고 부모의 이야기를

    알아듣고 그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시기에 아이와 많은

    대화를 나누거나 여러가지 소리 등을 들려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가 성장하는 데 있어 눈에 보이는 언어적인 능력은 부모가

    아이의 발달과정과 단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사람의 성향과 성격이 다 다르듯 아이의 발달 또한

    사람마다 다 다르고 개인차가 있습니다.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고 다양한

    음성을 들려준다면 아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발달과 성장은 개인차가 있습니다. 성장이 빠른 아이가 있는가 하면 성장이 조금은 더딘 아이들도 있습니다. 조바심을 내지 않고 기다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말이 트이는 시기는 보통 생후 6개월이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옹알이를 시작 합니다. 9~12개월의 시기는 엄마, 아빠 등 옹알이와 웅얼거림 대신 의미를 알고 말을 할 수 있는 초어가 등장하는 시기 입니다. 그리고 18개월이 즈음 되면서 부터 본격적인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으로 말이트이는 시기를 받아들이게 딥니다.

    지금은 아이가 8개월 이니 아이의 말을 트이게 하려면 언어자극을 주셔야 합니다. 아이에게 끊임없이 말을 걸어주시고, 말을 해주도록 하세요. 사물이나 물건등을 가리키며 그 단어를 알려주시는 것도 좋구요, 단어카드 그림을 보여주면서 말을 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