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복지를 늘리면 출산율 개선이 될까요? (남자)
안녕하세요.
인터넷을 보다가 여성 복지를 늘리면 출산율이 떨어진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여성 지위가 낮은 나라들은 남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서 출산율이 높다는게 근거인데
저는 선진국에 여성복지가 높아지는건 어쩔수없다고 생각하거든요.
혹시 남성 복지에 집중하면 출산율 개선이 될까요?
그렇게 시행한 나라가 있는지, 효과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단순 호기심이니 간단히 답주셔도 됩니다
남성분들의 육아와 관련된 복지가 개선이 된다면 아무래도 여성분들이 조금 더 육아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출산율의 개선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여요
지금은 복지가 중요한것 보다는 개인주의가 더욱 강해졌다고 봅니다
그리고 힘든 일은 안하려고 합니다 출산도 힘드니까 피하는 것입니다
남자가 정규직이고 소득이 높을수록 혼인률과 출산율이 높기는 합니다만
대기업 전문직들의 얘기입니다
✅️ 어느정도 그럴 수 있지만 결국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늘어남에 따라 소위 '여자보다 잘난 남자'들의 비중이 낮아졌고, 이에 따라 혼인, 출산율이 떨어진 것이므로 남성복지가 아닌 '남성 지위'를 높여줘야 혼인, 출산율이 높아질 것입니다.
질문하신 남성 복지를 늘리면 출산율 개선이 되냐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산율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렇기에 이를 반드시 개선해야 하고
남성의 복지를 개선하면 출산율 개선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봐야 합니다.
다만, 남성의 복지로 출산휴가를 유급으로 늘려주는 등의
직접적인 효과를 보는 복지가 늘어나면
일정 부분 출산율 개선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남성에 대한 복지혜택 및 육아정책 등에 혜택을 주거나 아니면 사회적 도움 등을 준다면 출산율을 높이는데 기여를 할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