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의 결정은 각 국가들의 화폐에 대한 수요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서, 화폐에 대한 수요는 외환시장을 통해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화폐의 수요 차이는 해당 국가의 인플레이션 수준, 국방력수준, 금리수준, 경제성장수준등을 고려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작년을 시작으로 원-달러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미국-한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달러환율 변동성 결정에 가장 큰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리차이에 의한 환율 결정의 과정을 예시를 들어서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1금융권(미국)에서 금리를 4.5%를 제시하고, 2금융권(한국)에서는 금리를 3.5%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고객(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당연하게도 더 안전하고 금리를 높게주는 1금융권에 예금을 예치하기 위해 자금이 몰리게 됩니다. 하지만 1금융권에 예금을 하기 위해서 2금융권에 맡겨둔 돈을 찾아서 1금융권에 가져가야 하면서, 2금융권의 예금을 팔고(원화를 매도) 1금융권의 예금을 매입(달러를 매수)하게 되는데 그럼 1금융권에 대한 수요가 증가(달러에 대한 수요증가)가 발생하다 보니 달러에 대한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환율 결정 구조에서 중요한 것은 '한-미간의 금리'차이에 따른 달러환율의 상승은 현재의 격차를 통해서 발생하기 보다는 '앞으로 벌어지게 될 금리차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됩니다.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완화된다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게 된다면 향후 한국과의 금리격차가 좁혀질 것이라 예상하기에 달러환율이 하락하게 되고 반대로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예상하게 된다면 달러환율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환율의 변동성이 클 수록 무역의 비중이 큰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성장이나 국내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통제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환율이 큰 변동성을 보이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