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22.12.20

freight Prepaid와 DOCUMENTS REQUIRED PRE SHIPMENT 무슨 무역 뜻인가요?

무역에서 freight Prepaid와 DOCUMENTS REQUIRED PRE SHIPMENT이 뜻하는 단어가 종종 있던데 무슨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freight Prepaid는 운임이 선지급되었다는 뜻으로 수출자가 이미 물품 운송에 대한 운임을 지급했다는 뜻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정형거래 조건 중 수출자가 운임을 부담하는 C조건이나 D조건에 해당됩니다.

    DOCUMENTS REQUIRED PRE SHIPMENT의 경우 문맥의 전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나 선적 전에 필요한 서류로서 요구되는 서류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 용어를 설명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Freight Prepaid - 운임 선지급을 뜻합니다. Freight Collect 는 반대로 운임 후지급을 뜻합니다.

    DOCUMENTS REQUIRED PRE SHIPMENT - 선적전 필요서류를 뜻합니다. 선적시에 필요한 서류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마음에 드시는 경우에는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1. Freight Prepaid

    선하증권(B/L)을 보면 Freight prepaid 혹은 Freight Collect 라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기서 Freight Prepaid 란 운임 선불이라는 의미로, 선적이 끝나고 선하증권이 발급되자마자 화주가 선박회사에 운임을 지불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Freight Collect 란 운임 후불이라는 의미로 물품이 도착한 후에 운임을 후불로 지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택배에서 선불, 착불 개념과 동일한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2. DOCUMENTS REQUIRED PRE SHIPMENT

    선적 전 필요 서류를 의미하는 말로, 선적 서류란 화물의 선적 및 선적과 관련된 여러 사실(포장, 원산지, 검사 중량 및 용적 등)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선적 서류는 수출자가 수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류입니다.

    선적 시 기본서류에는 상업송장, 선하증권, 보험증권이 있으며, 그 외에도 상품의 종류, 각국의 법규에 따라 포장명세서, 원산지증명서, 검사증명서, 견적송장 등의 서류가 요구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문의주신 내용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1. freight Prepaid: 수출업자가 선적지에서 운임을 지불하는 선불운임을 의미합니다.

    2. DOCUMENTS REQUIRED PRE SHIPMENT: 선적 전 구비서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해당 용어 뒤에 필요한 서류리스트가 같이 기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