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으캬캭
으캬캭23.03.12

무역에서 통화 스왑이란 무엇인가요?

무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통화 스왑의 개념과 작용에 대해 궁금합니다. 통화 스왑이 왜 필요하며, 어떤 경우에 사용되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통화스왑이란 환리스크의 헤지, 결제일의 조정, 기타통화 자금의 조달 수단, 금리재정거래, 선물환의 창출 등을 위하여 거래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현물환거래와 선물환거래 또는 선물환거래와 다른 선물환 거래를 동시에 행하는 일종의 환포지션커버거래를 말합니다.

    통화 스왑(Currency Swap)은 두 국가 간에 서로 다른 통화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융상품으로 무역, 투자, 자금 조달 등 다양한 경제활동에서 사용됩니다.통화 스왑은 두 국가 간의 환전을 포함하지 않으며, 대신 두 국가 간에 계약된 금액과 환율에 따라 통화를 교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기업이 일본에서 자금을 조달해야 할 경우 일본 기업은 미국 기업으로부터 미국 달러를 받고, 대가로 일본 엔화를 제공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미국 기업은 환율 변동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중앙은행이 일본의 중앙은행과 통화 스왑 계약을 체결한다면, 한국은 엔화를 수취하고, 대가로 원화를 제공합니다. 이 경우, 한국의 중앙은행은 엔화 자금을 조달하여 외화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일본의 중앙은행은 엔화를 대가로 원화를 받아 일본 기업이 한국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돕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통화 스왑이란, 둘 이상의 거래기관이 사전에 정해진 만기와 환율에 의해 다른 통화로 서로 교환하는 외환거래를 말합니다. 환시세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통화 스왑의 방법은 자국통화를 맡기고 상대국의 통화를 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3월 13일 1,300원을 내고 1달러를 빌리면, 만기일의 환율이 1,500원이든 1,000원이든 상관없이 1달러를 갚고 다시 1,300원을 돌려받는 것이며, 이는 내용상 차입이지만 돈을 맡기고 돈을 빌려오는 것이기 때문에 형식은 통화교환이 되고, 사실상 외환 보유액이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외환위기 등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되므로 국가간의 통화 스왑 협정 체결은 위기에 대비한 외화유동성 안전망 확보에 그 의미를 찾을 수 있고, 통화 스왑은 외화유동성과 관련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킴으로써 실물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통화스왑은 ‘통화’라는 기초자산을 ‘바꾸다, 교환하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는 ‘스왑’ 계약이라는 방식으로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국가간 통화스왑 협정이 있는데, 이는 두 나라가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RB)이 각국 중앙은행과 맺고 있는 연방은행 스왑 협정입니다.

    통화스왑은 여러 이점이 있습니다. 어느 한쪽에 외환위기가 발생하면 상대국이 외화를 즉각 융통해줌으로써 유동성 위기를 넘길수 있고, 장부외거래의 성격을 지녀 금융기관으로서는 자본 및 부채 비율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습니다. 또한, IMF로부터 돈을 빌릴 경우에는 통제와 간섭이 따라 경제주권과 국가 이미지가 훼손되지만, 통화스왑은 이를 피해 외화 유동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국내 금융시장 안정에도 긍정적 역할을 합니다. 국내은행에 달러화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자금경색 우려를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고 외환시장의 달러화 경색도 점진적으로 완화돼 원/달러 환율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통화스왑이란 국가 간 통화스와프는 통상적으로 중앙은행끼리 일정 기간 자국 통화를 서로에게 빌려주기로 하는 계약을 일컫습니다.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통화스와프를 체결한다면, 한은이 원화를 연준에 빌려주고 대신 달러를 받아오는 식입니다.

    따라서 통화스왑은 ‘통화’라는 기초자산을 ‘바꾸다, 교환하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는 ‘스왑’ 계약이라는 방식으로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가간의 통화스왑 협정은 두 나라가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RB)이 각국 중앙은행과 맺고 있는 연방은행 스왑 협정입니다.

    통화스왑을 통해서 협정 체결국 간에는 어느 한쪽에 외환위기가 발생하면 상대국이 외화를 즉각 융통해줌으로써 유동성 위기를 넘기고 환시세의 안정을 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변제할 때는 최초 계약 때 정한 환율을 적용함으로써 시세변동의 위험을 피할 수 있습니다. 또 차입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으며, 장부외거래의 성격을 지녀 금융기관으로서는 자본 및 부채 비율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습다.

    그리고 IMF로부터 돈을 빌릴 경우에는 통제와 간섭이 따라 경제주권과 국가 이미지가 훼손되지만, 통화스왑은 이를 피해 외화 유동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울러 국내 금융시장 안정에도 긍정적 역할을 합니다. 국내은행에 달러화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자금경색 우려를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고 외환시장의 달러화 경색도 점진적으로 완화돼 원/달러 환율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10월 이후 국내 증시가 폭락한 가장 큰 요인이 바로 자금시장 및 외환시장 불안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통화스왑을 통해 향후 주식시장의 안정까지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통화스왑은 ‘통화’라는 기초자산을 ‘바꾸다, 교환하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는 ‘스왑’ 계약이라는 방식으로 거래하는 것을 뜻합니다. 국가간의 통화스왑 협정은 두 나라가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RB)이 각국 중앙은행과 맺고 있는 연방은행 스왑 협정입니다. 미국은 이렇게 얻은 외화로 환시장에 개입하여 달러 시세의 안정을 도모하고, 상대국도 이 달러를 사용하여 자국의 환시세 안정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1959년 독일연방은행과 처음 통화스왑 협정을 맺은 뒤로 유럽 여러 나라와 캐나다, 일본 등의 중앙은행 및 국제결제은행과 협정을 맺고 있습니다. 2008년 10월 30일 우리나라도 국제금융위기의 여파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자 신흥국으로서는 처음으로 미국과 3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왑 협정을 체결하였습니다. 다만, 현재는 통화스왑계약이 종료되어 이에 대하여 현재 환율 방어책이 미비하여 최근에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통화 스와프란, 통화교환의 형식을 이용하여 단기적인 자금 융통을 행하기로 하는 계약을 뜻합니다.

    KDI의 통화스와프에 관한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