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빼어난조롱이272
빼어난조롱이27223.08.14

국내주식과 미국주식의 주주환원정책 차이점에 대해 알고 싶어요

현재 주식투자(국내, 미국)를 하고 있는데 미국주식은 매 분기마다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하고 있지만 국내주식은 분기배당을 지급하고 있는 기업은 너무 적고 대부분의 기업에서 1년에 한 번 지급하는 결산배당을 지급하고 있더라고요.

국내주식은 주주환원정책에 있어 미국주식에 비해 왜 이렇게 소극적이고 배당률 또한 낮은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자식들에게 기업을 물려주는 구조이다보니 기업의 가치가 올라 상속세를 많이 내는 것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기업은 주주환원정책에 인색하나, 미국기업들은 자사주매입 및 소각에 적극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기업은 보통 세습 경영을 하는 경우가 많고

    대주주의 지분율이 워낙 적어 배당 등을 적극적으로 할 경우

    오너 일가에 가는 것이 얼마 되지 않는 등 이에 따라서

    주주환원책에 소극적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주식이 해외 기업에 비해서 배당주기나 배당성향이 낮은 이유는 해외기업은 주주들에 의해서 투자를 받고 설립하고 이를 통해서 얻어진 수익을 배당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에 비해서 우리나라 기업들은 기업을 가족경영 혹은 대표자 개인의 것이라고 생각하여 수익을 배당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좋으세요

    그래서 대주주의 지분이 가족에게 치우쳐 있을수록 배당을 거의 하지 않고 외국인 투자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배당성향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어요. 게다가 외국인 투자자들은 배당을 당연하게 여기고 권리를 주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주식투자에 대해서 배당보다는 주식의 시세차익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당연한 권리에 대한 주장을 하지 않다 보니 이러한 점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업의 경우 지배구조가 재벌이나 1인 지배구조 기업이 많아 투자자 중심으로 지배구조를 가지고 잇는 미국 기업대비 배당이나 주주환원 정책에 소극적입니다